최종편집 : 2025-07-17 16:18 (목)
서울대 전임교원 中 여성 15% 불과해
상태바
서울대 전임교원 中 여성 15% 불과해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7.10.12 1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性 불평등 심각…본부 차원 추진 필요
▲ 서울대 구성원 여성 비율.

서울대 전체 전임교원 중 여성은 15%에 불과해 성 불평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다양성위원회는 12일 관악캠퍼스 교수회관에서 ‘다양성보고서 2016’ 발간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울대 전체 전임교원 2114명 가운데 여교수의 비율은 15%(318명)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여교수가 각각 91.3%(21명), 84.8%(28명)인 간호대학과 생활과학대학을 제외하면 여교수 비율은 13.1%에 그쳤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중 여학생의 비율이 각각 40.5%(6743명), 43.2%(5176명)인 것과 비교할 때 절반도 못 미치는 수치다. 

특히 공과대학의 경우 여학생이 학부 15.5%, 대학원 16.5%였으며 여교수는 3.2%에 머물렀다. 자유전공학부, 공학전문대학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등에서도 여교수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가에서 여교수는 2003년 교육과학기술부에 ‘대학교원 임용양성평등위원회’가 설치되고 2004년 국립대학 여교수 채용목표제가 시행되면서 적극적인 임용이 시작됐다. 하지만 서울대 여교수의 비율은 아직 정부권고안인 20%나 사립대학 평균 24.8%(2016년 교육부 자료)에 못 미친다.

노정혜 다양성위원회 위원장은 “그동안 전임교원을 뽑을 때 능력 있는 여성을 뽑으려고 하는 본부의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여교수 임용을 제도적으로 강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의사결정 구조에서도 여성 참여율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요 보직 여성교원의 참여율은 13.3%에 머물렀다. 학내의사결정기구인 평의원회의 여성교원 참여율도 13.3%였다. 정부의 ‘양성평등기본법’에서 제시한 여성 참여 최소비율인 40%에 한참을 못 미치는 것이다. 

1975년 이후 43년간 여교수가 부처장급 이상의 본부 보직을 맡은 것은 모두 12회였으며 연임으로 중복된 경우를 제외하면 10명이었다. 2006년 8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본부 보직자 중 여교수는 한 명도 없었다.

직원도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서울대 2198명의 직원 중 일반 정규직 비율은 여성 47.4%(484명), 남성 52.6%(538명)였다. 반면 여성의 무기계약직·기간제 직원 비율은 74.6%였다. 

이밖에도 서울대 전임교원의 출신학교를 분석한 결과 본교 출신이 80.4%, 타 대학 출신이 14.4%, 외국인 전임교원이 5.2%를 차지했다. 내국인 전임교원의 최종학위를 보면 외국대학 학위취득자는 58.2%, 국내대학 학위취득자는 41.8%였다. 

내국인 전임교원의 최종학위 국가를 보면 미국이 47.7%로 가장 많았고 한국이 41.8%로 2위에 올랐다. 독일(2.9%), 영국(2.2%), 일본(2.1%)이 뒤따랐다.

이번 보고서는 기존 통계에 잡히지 않던 대학원 연구생(6658명), 학부와 대학원의 내국인 교류학생(668명), 일반정규직 직원(법인직원)이외의 무기계약직 직원(481명), 기간제 근로자 직원(845명)을 포함시켰다.

그 결과 서울대 전체 구성원은 통계연보에 잡힌 4만5000여명보다 6000명 많은 5만1420명(지난해 10월 기준)이었다. 또 학부생과 대학생의 구성비는 각각 2만1877명과 2만455명으로 51.7대48.3으로 나타났다.

다양성위원회는 “교원의 다양성 임용 증진을 위한 본부 차원의 추진이 필요하다”며 “여성 전임교원의 주요위원회 참여 확대 명분안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