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한파로 전기장판과 난로 등 전열기 사용이 늘면서 주택 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1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행정안전부 주간(1월 28일~2월 3일)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총 5만5268건의 주택화재가 발생했으며 93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화재는 겨울철 중에서도 1월이 5719건으로 연중 가장 많이 발생했고 사망자도 144명으로 월평균 78명보다 1.8배(66명) 많았다.
화재 발생 원인을 분석해 보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3만960건(56%)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과열 등으로 인한 전기적 요인이 1만1704건(21%), 원인을 알 수 없는 미상 5672건(10%), 가스누출 등의 기계·화학·가스 3237건(6%), 방화가 2515건(5%) 순이다.
이 중 부주의로 인한 화재 원인은 음식물 조리나 빨래 삶기가 1만3108건(42%)으로 가장 많았고, 담배꽁초 5799건(19%), 화원방치가 4943건(16%)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따라서 집안의 누전차단기는 시험버튼을 눌러 작동을 확인하고, 가스시설의 밸브와 보일러 등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높은 온도로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끈다.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빨래를 삶을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하고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단독주택은 소방시설이 갖추어진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달리 화재 발생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화재 시 경보음이 울리는 단독형감지기와 소화기를 반드시 설치한다. 화재 등 위급상황에 대비해 비상구와 공동주택의 경량칸막이 등 피난시설 위치를 확인하고, 안전한 대피요령과 소화기 사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동주택에서의 화재는 본인뿐 아니라 이웃에게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며 “집안의 불필요한 전원은 차단하고 누전이나 가스누출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