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경고그림 도입 효과 가시화
지난해 담배 판매량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뱃값 인상과 흡연 경고그림 도입 효과가 가시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17년 담배 판매량은 35억2000만갑으로 전년(36억6000만갑) 대비 3.8% 감소했다.
담배 판매량은 2014년 43억6000만갑에 달했으나, 가격이 큰폭 인상된 2015년 33억3000만갑으로 줄었다.
2016년 36억6000만갑으로 다시 증가했다가 경고그림이 도입된 이후 다시 판매량이 감소한 모습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판뱃값 인상전인 2014년 대비로는 19.2% 감소해 담뱃값 인상 및 흡연 경고그림 도입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반면 아이코스 등 궐련형 전자담배의 성장세는 수치로 확인됐다. 지난해 5월 신규 출시된 궐련형 전자담배는 12월까지 8000만갑이 팔렸다. 전체 담배 판매량의 2.2%에 달하는 숫자다.
한편 담배에 부과되는 제세부담금은 약 11조2000억원으로 전년(12조4000억원) 대비 9.2%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궐련 담배를 통한 세수는 11조원으로 1년 사이 1조4000억원이 줄었다. 지난해 궐련 반출량이 전년 대비 10.9%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국내 담배 3사가 잇따라 출시한 궐련형 전자담배를 통해 약 2000억원의 추가 세수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