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7 16:44 (목)
이광구 前우리은행장 소환조사
상태바
이광구 前우리은행장 소환조사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7.12.21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용 업무방해 및 특혜 혐의

검찰이 지난 20일 채용비리 의혹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이광구 전(前) 우리은행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서울북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구자현)는 21일 “어제 오전 10시 업무방해 혐의를 받고 있는 이 전 행장을 소환해 오후 10시 30분까지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 전 행장은 인사부의 공정한 채용 업무를 방해하고 특혜 채용에 부적절하게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채용과정에서의 이 전 행장의 구체적인 위법 여부에 대해서 이날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달 28일 오전 9시부터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과 마포구 상암동 전산센터를 압수수색했다. 이날 검찰은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우리은행 인사부 이모(44) 팀장 등 인사 실무자 3명을 체포해 조사하기도 했다.

검찰은 지난 7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은행장실 등을 압수수색한데 이어 이달 10일 경기 안성 우리은행 연수원 등을 압수수색했다. 지난 28일에는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과 마포구 상암동 전산센터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우리은행 본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실무자 등을 조사하며 수사를 상당 부분 진척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채용 비리 당시 우리은행 수장이었던 이 전 행장에게도 혐의가 있다고 판단한 셈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신입사원 공채에서 국가정보원(국정원)과 금융감독원(금감원) 직원, VIP 고객의 자녀와 친·인척 등을 추천받아 16명을 부정 채용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우리은행은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공개한 채용 관련 문건을 통해 지난해 신입사원 공채에서 국정원·금감원 직원, VIP 고객의 자녀와 친·인척 등을 추천받아 16명을 채용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이후 우리은행은 외부 법무법인 변호사 3명과 은행내 인사부·검사실 외 직원 6명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자체 조사를 진행해왔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7일 남기명 국내 부문 부문장(수석 부행장)과 이대진 검사실 상무, 권모 영업본부장 등 관련자 3명을 직위해제 조치했다. 또 중간 조사 결과를 금융감독원에 보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