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7 16:44 (목)
광주 환경미화원 잇단 사망사고…대책 시급
상태바
광주 환경미화원 잇단 사망사고…대책 시급
  • 전영규 기자
  • 승인 2017.11.29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벽 노동 폐지’ 촉구…검토 조차 하지 않아

최근 광주광역시에서 업무 중인 환경미화원들이 잇단 사고로 숨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낮 12시20분께 광주 남구 양과동 위생매립장에서 환경미화원 A(57)씨가 B(47)씨가 운전한 청소차 적재함의 압축기계에 끼였다.

A씨는 머리 등을 크게 다쳐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경찰은 B씨가 청소차량 적재함에 있었던 A씨를 확인하지 못하고 기계를 작동한 것이 아닌가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 중이다.

앞선 이달 16일 오전 6시40분께 광주 남구 노대동 한 도로에서는 환경미화원 C(59)씨가 D(45)씨가 운전한 청소차에 치어 숨졌다.

D씨는 경찰에 “후진하던 중 뒤쪽에 있던 A씨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2월 15일에는 오전 6시15분께 광주 북구 운암동 운암고가 밑 2차선 도로에서 환경미화원 E(당시 56세)씨가 음주운전 차에 치여 숨지기도 했다.

환경미화원이 잇단 사고로 숨지자 새벽 청소 폐지와 직영전환, 안전 담보를 위한 민관 공동기구 설치 등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나경채 정의당 광주시당 대변인은 “지난해 12월 환경미화원이 음주운전 차에 치여 숨진 사고 이후 ‘새벽 노동 폐지’를 촉구했지만 광주시가 검토 조차 하지 않았다”며 “광주시는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새벽 시간 청소를 폐지하는 등 근로시간대를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청소를 담당하는 5개 구 중 1개구를 제외한 4개 구청이 비용절감을 위해 민간 위탁을 하고 있어 환경미화원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직영전환해야 하고 민관이 합동으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환경미화원들도 ▲작업시간 후 편하게 쉬고 식사할 수 있는 휴식공간 확보 ▲체육행사 지원 등 복지향상 방안 마련 ▲위생매립장·음식물자원화시설 탄력적 운영 ▲대용량 종량제봉투(100ℓ), 음식물수거통(20ℓ) 사용 자제 ▲안전발판 설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환경미화원들은 근무시간 조정은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교통흐름을 막아 되레 민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 의견을 밝혔다.

광주시는 환경미화원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의 의지를 보였다.

시 관계자는 “광주공동체를 위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할 청소업무를 맡고 있는 미화원에 대한 표창, 해외시찰, 체육행사, 야유회 지원 등 사기진작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며 “자치구와 유기적이고 지속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해 밝고 깨끗한 광주가 조성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