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10명 중 7명은 지난해 촛불집회의 목적이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연대와 비영리 공공조사 네트워크 ‘공공의창’, ㈜우리리서치는 22일 발표한 ‘촛불1년 즈음 국민 여론조사’ 결과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촛불집회 목적 완성에 대해 ‘근본적 개혁이 뒤따라야 하므로 앞으로 완성해야 한다’는 응답이 71.1%를 차지했다. ‘박 전 대통령이 탄핵됐으므로 목적이 완성됐다’는 응답은 17.3%에 그쳤다.
촛불집회 확산의 가장 큰 계기로는 ‘최순실 등 비선실제의 국정개입’(44.1%)이 꼽혔다. 이어 ‘대통령의 권력사유화’(23.5%), ‘세월호 참사 부실 대응’(7.1%), ‘재별과 권력의 유착’(7.1%),’ 부정입학 등 불공정 문제’(5.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20차례 열린 촛불집회에 참여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28.4%인 가운데, 가족·친척과 함께 참석했다는 응답이 46.7%로 가장 많았으며 ‘친구·지인·직장동료 등’(28.5%), ‘혼자’(22.4%)가 뒤를 이었다. 정당·시민단체 등에 의해 참석했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박근혜 정권 퇴진 촛불집회에 대해서는 71.5%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23.8%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현 정부에 대한 평가도 이어졌다.
최근 적폐 청산에 대해서는 ‘불법 행위에 대한 당연한 처벌이다’는 응답은 67.5%로 ‘과거 정권에 대한 정치적 보복이다’는 응답은 25.7%였다. 당연한 처벌이란 응답은 보수적 성향인 응답자를 제외한 모든 성별과 연령대, 지역에서 정치보복이란 답변보다 높게 나왔다. 보수 성향 응답자는 51.3%가 정치보복이라고 답변했고 42.9%가 당연한 처벌이라고 답했다.
문재인 정부가 촛불집회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을 얼마나 잘 계승하고 있냐는 질문에는 ‘매우 잘 계승’(38.3%), ‘잘 계승하는 편’(31.5%)이란 긍정적 답변이 69.8%였다. ‘계승하지 못하고 있는 편’(13.5%), ‘전혀 계승 못함’(10.1%)는 부정적 답변은 23.7%였다.
개헌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 가까운 시민이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개헌을 투표를 진행 해야한다는 의견은 43.9%, 충분한 시간과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방선거 이후에 해야한다는 응답은 35.1%였다. 개헌 자체가 불필요하다는 응답은 6.2%에 그쳤다.
개헌 방향에 대해서는 국민의 기본권 강화(43.7%), 대통령 4년 중임제나 이원집정부제 등 권력구조(38.1%), 지방자치 및 분권 강화형 개헌(9%) 등이 뒤를 이었다.
사회의 공공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10명 중 6명은 열심히 노력해도 성공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