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7 16:44 (목)
최근 5년간 수능 부정행위 936건 발생
상태바
최근 5년간 수능 부정행위 936건 발생
  • 전성희 기자
  • 승인 2017.11.15 1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평균 187명 무효 처리

2013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최근 5년간 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로 적발된 건수가 936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년 평균 187명이 부정행위로 적발되고 있는 셈이다.

교육부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곽상도 위원에게 제출한 수능 부정행위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로 2013학년도 153명, 2014학년도 188명, 2015학년도 209명, 2016학년도 189명, 2017학년도 197명의 수험생이 부정행위로 간주돼 수능무효 처리가 됐다.

유형별로는 휴대폰, 스마트기기(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를 소지한 경우가 2013학년도 79건(51.6%), 2014학년도 90건(47.9%), 2015학년도 102건(48.8%), 2016학년도 87건(46.0%), 2017학년도 85건(43.1%)에 달했다.

최근 5년간 부정행위 유형 중 전자기기 소지 443건에 이어 4교시 응시방법의 위반 경우가 382건으로 뒤를 이었다. 시험 종료 후 답안을 작성해 무효 처리된 수험생도 2017학년도에 29명(14.7%)으로 2016학년도 15건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시도별 수능 부정행위는 서울 348건, 경기 181건, 부산 63건 충북 43건, 대전 40건, 충남·경남 35건, 대구·광주 30건 순으로 발생했다.

서울·경기지역에서만 529건이 발생해 부정행위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