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7 16:44 (목)
40대男, 비만율 연령별 최고치 기록
상태바
40대男, 비만율 연령별 최고치 기록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7.11.06 1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0세 이후 여성이 역전

성인 비만유병률이 가장 높은 계층은 40대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남성 비만율이 여성보다 높지만 60대 이후에는 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6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7기)’에 따르면 19세 이상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34.8%로 집계돼 셋중 한명 이상이 비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연령별로 보면 남성 40대(40~49세)의 비만유병률이 49.0%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남성중 30대(30~39세) 45.4%, 50대(50~59세) 39.7%도 높게 조사됐다.

여성의 경우 70세 이상의 비만유병률이 42.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이어 60대(60~69세) 40.7%다. 

남성의 경우 40대를 기점으로 비만유병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의 경우 60대를 기점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의 경우 비만유병률이 남성 39.7%, 여성 32.5%로 남성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60대에 접어들면 남성 39.7%, 여성 40.7%로 역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만성질환 유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혈압 유병률은 남성의 경우 ▲30대 16.9% ▲40대 30.8% ▲50대 42.3% ▲60대 55.9% ▲70세 이상 64.2% 순으로 집계됐다. 여성도 ▲30대 3.3% ▲40대 12.4% ▲50대 3.08% ▲60대 46.2% ▲70대 72.5% 등이다.

당뇨병 유병률도 남성의 경우 ▲30대 3.6% ▲40대 9.8% ▲50대 17.4% ▲60대 25.5% ▲70세 이상 26.4% 순으로 점증하는 모습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30대 1.8% ▲40대 6.1% ▲50대 11.0% ▲60대 18.3% ▲70세 이상 30.9% 순이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성의 경우 ▲30대 10.8% ▲40대 20.2% ▲50대 28.1%로 증가하다, ▲60세 27.2% ▲70세 이상 16.4%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 ▲30대 8.0% ▲40대 9.6% ▲50대 33.7% ▲60대 47.3%로 정점을 찍고 ▲70세 이상은 29.0%로 나타났다.

흡연율의 경우 30대 남성에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남성의 경우 현재흡연율은 30대 51.5%로 가장 높고, 40대(43.9%), 19~29세(41.7%), 50대(38.2%) 등 순이다. 

여성도 30대가 7.6%, 19~29세 7.2% 등 젊은층에서 높은 수준이지만, 여성의 경우 유독 50대(7.1%)가 40대(5.6%)보다 높은 수준인 것이 눈에 띈다.

월간폭음률의 경우 30대 남성이 62.8%로 가장 높고, 40대 남성(58.5%), 19~29세 남성(53.5%) 등 순으로 높게 조사됐다. 

반면 여성의 경우 유독 19~29세의 월간폭음률이 45.7%로 30대(27.1%)에 비해 1.7배 수준으로 비교적 높아 10·20대 여성에 대한 절주 실천 등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걷기실천률은 남녀 모두 19~29세가 52.2% 43.6%로 가장 높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