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7 16:44 (목)
서울시 무기계약직 정규직화 진통
상태바
서울시 무기계약직 정규직화 진통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7.11.05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규직 역차별 vs 무늬만 정규직’

산하기관 무기계약직 전원을 올해 안에 정규직화하겠다는 서울시 계획이 정규직과의 형평성 문제로 4개월째 난항을 겪고 있다. 노사가 하위직급 신설 등으로 임금 격차를 두려하자 ‘무늬만 정규직화’는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11개 산하 투자·출연기관중 내년부터 정규직 전환 이행을 합의한 곳은 아직 한 곳도 없다. 박원순 시장은 지난 7월 ‘노동존중특별시 2단계 ‘7대 실행계획’을 발표하며 이들 기관의 무기계약직 2442명의 연내 정규직 전환을 약속했다.

이 가운데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사측과 3개 노동조합이 협의안을 도출하고 있지만 당사자인 무기계약직이 거세게 반대하고 있다.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대신 ▲하위직급(8급) 신설 ▲승진 유예 ▲마이너스 호봉 ▲군경력 미적용 ▲무기계약직 업무 기간 미인정 등 사규에 없는 내용을 조건으로 내걸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서울시 발표 당시 전체 정규직 전환 대상자의 절반에 가까운 1147명(47%)이 서울교통공사 소속이었다. 현재 정원은 그보다 308명 많은 1455명이다.

◇무기계약직도 공개채용 절차 거쳐 채용

논란의 핵심은 무기계약직의 정규직화가 ‘기존 정규직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주장이다.

일부 젊은 직원들로 구성된 ‘공정사회를 염원하는 서울교통공사 청년모임’은 무기계약직의 정규직화가 공개채용 시스템을 무너뜨린다고 주장한다. 기존 정규직은 시험을 치르고 어렵게 공기업에 입사했는데 무기계약직은 이런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사 관계자는 “정규직과 무기계약직인 업무직 모두 공개채용으로 채용되며 이들간 채 절차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올해 공사 신입사원 공개채용은 ‘필기시험→인성검사→면접시험’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지하철 보안관 등 일반업무직과 승강장안전문(PSD) 보수원 등 안전업무직 1455명은 ‘필기시험→면접시험’을 치렀다. 인성검사를 빼면 절차는 같다.

시험의 내용은 어떨까. 정규직은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기반으로 사무·승무·영양조리를 제외한 전문직종만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한다. 업무직은 NCS를 치르지 않지만 해당 업무 능력을 입증할 서류를 제출하게 하거나 업체 및 기관 조회로 검증한다.

필기시험에서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업무직과 안전업무직 모두 공개채용 절차를 통해 일정한 경쟁률로 선발하고 있으며 업무 전문성 평가에서도 문제가 없다는 게 공사의 입장이다.

◇’경쟁의 질 달라’…당사자 합의 필요

다만 공개채용 형식과 별개로 필기시험의 난이도와 경쟁률 등의 측면에서 기존 정규직과 상시 채용하는 무기계약직간 차이를 무시할 수 없다.

애초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 서울시도 현실적인 형평성 문제를 인정한 바 있다. 지난 7월 실행계획 발표 당시 조인동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에 따르되 업무책임 정도, 근속연수 등을 고려해 임금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점을 고려해 불이익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