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8 10:34 (금)
자원빈국 韓, 전기 다소비국 세계 6위
상태바
자원빈국 韓, 전기 다소비국 세계 6위
  • 뉴시스
  • 승인 2024.08.18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美·印·러·日 순 전력소비↑…韓 1인당은 13번째
전기료, OECD 37개국 중 ‘산업용 26위·주택용 35위’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 물빛광장을 찾은 시민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시스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 물빛광장을 찾은 시민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시스

연일 무더운 날씨에 에어컨 없이는 하루도 견딜 수가 없는 요즘이다. 식당, 가게, 사무실 어디를 가나 푹푹찌는 외부와는 달리 에어컨을 풀로 가동해야 일상이 가능하다.

그런 탓에 이달 들어 일일 전력 수요가 연일 최대치를 경신 중이다. 전력 피크가 신기록을 세웠다는 소식이 하루가 멀다하고 들리는 듯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우리나라 전기 씀씀이가 헤프단 걱정도 든다. 실제로 다른 나라랑 비교해도 한국은 전력 소비량이 굉장히 많은 나라다.

18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은 연간 586.766TWh(테라와트시)의 전력을 소비했다.

전력 소비가 많은 나라를 줄 세웠을 때 한국은 6위에 이름을 올렸다.

1위는 중국으로 연간 8539.690TWh를 사용했다고 한다. 그다음으로 미국(4128.177TWh), 인도(1462.874TWh), 러시아(1025.537TWh), 일본(939.314TWh)이 뒤를 이었다.

한국을 포함해 이 나라들은 제조업 중심 국가란 공통점이 있다. 

다만 한국을 제외하고는 인구가 1억명이 훌쩍 넘는 인구 대국이란 점도 눈에 띈다.

인구가 5000만명 밖에 되지 않는 한국은 1억명 이상의 거대 국가들만큼 전기를 사용한 것이다.

그럼 인구 요인을 제외하고 전력 소비량을 따져보면 1인당 전력 소비량을 따져보면 한국인은 연간 10.959㎿h(메가와트시)를 사용했다.

전력 소비 상위 6개국을 줄 세워보면 한국은 미국(11.267㎿hh) 다음으로 1인당 전력 소비가 많았다. 다만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

일본(7.327㎿h), 러시아(6.864㎿h), 중국(5.474㎿h), 인도(1.25㎿h)와 비교해도 한국의 1인당 전력 소비가 많은 수준임을 엿볼 수 있다.

전 세계로 범주를 넓히면 1인당 전력 소비 상위국은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 등 자원 부국들이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름 한 방울 안 나오는 한국이 비교적 전기를 많이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가 전기를 많이 쓰는 원인에는 다른 주요국 대비 저렴한 전기요금이 자리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을 전기요금이 비싼 순서로 나열했을 때 한국은 산업용 전기요금의 경우 26위, 주택용 전기요금 35위를 기록했다.

산업용 전기요금이 가장 비싼 영국은 지난해 기준 ㎿(메가와트)당 321.4달러이다. 같은 기간 한국은 122.1달러로 영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의 38% 수준에 불과했다.

주택용 전기요금은 주요국 중 한국보다 비싼 나라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주택용 전기요금이 가장 비싼 덴마크가 지난해 ㎿당 518.3달러인 것에 비해 한국은 25%인 130.4달러밖에 되지 않는다.

전기요금은 소비자에게 전기 절약을 유도하는 역할도 한다. 한국은 저렴한 전기요금으로 인해 전력 사용이 제동 없이 폭증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의 1인당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는 속도도 가파르다. 지난 2020년 9.826㎿h를 기록한 이후 2021년 10.330㎿h, 2022년 10.652㎿h로 오름세를 지속 중이다.

에너지 빈국인 한국이 전기 절약에 대한 경각심을 갖기 위해 요금 정상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아울러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개개인의 실천도 중요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권장하는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다. 냉방을 할 때는 문을 모두 닫고, 안 쓰는 조명은 끄는 습관도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