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2일 “갈등과 대결의 정치가 반복되면 우리 앞에 놓인 도전을 극복할 수 없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도 없다”며 “이번 국회가 오직 국민만 바라보며 민생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나가는 훌륭한 정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29회 국무회의에서 지난주 원 구성을 마친 22대 국회를 향해 ‘대화와 타협’ 메시지를 전했다.
윤 대통령은 “새롭게 국회가 출범하는 지금, 우리 앞에는 함께 힘을 모아야만 해결할 수 있는 엄청난 국가적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우리 사회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서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정의 목표, 정치의 목표는 하나다. 민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국민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이러한 목표만큼은 정부와 국회가 다르지 않다고 저는 믿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서로 의견이 다를 수는 있으나,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대화와 합의에 기반한 합리적 시스템으로 의견 차이를 좁히고 이를 통해 의사결정을 이뤄내는 것이 정치의 요체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합리적인 대화와 타협이 사라지면 모든 어려움과 고통은 결국 국민에게 돌아가게 돼 있다”며 “정부도 민생의 어려움을 빠르게 해결하고 대한민국이 더 큰 미래로 도약하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민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국회와 정부의 원활한 소통도 시급하다”며 정무장관직 신설 결정 배경도 직접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저출생 문제 해결에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정부는 전날 인구전략기획부 신설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비상사태인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면 하루라도 빨리 총력 대응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며 국회의 개정안 처리 협조를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월 혼인 건수와 출생아수 증가 통계를 언급하고 “그 어떤 소식보다 반가운 소식”이라며 “저출생 정책을 더 강력하게 추진하고, 국민 모두가 힘을 모은다면 저출생 극복이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희망을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가정이 행복의 원천이라는 생각이 널리 공유되고 출산을 친지와 가족뿐 아니라 국가사회가 함께 축하해주는 문화가 확산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