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조작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김진표 전 국회의장의 회고록이 공개된 이후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를 요구하는 국회 청원의 동의 수가 6월30일 70만명을 넘어섰다.
더불어민주당은 “당 차원의 공식적인 논의는 아직 없다”며 말을 아꼈고, 조국혁신당은 “민심을 받들겠다”며 조속한 심사를 촉구했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원내 지도부가 탄핵이라는 말을 꺼내는 순간 효력이 발생할 수 있는 의제가 되기 때문에 지금 그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하거나 대응을 얘기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대답을 해야만 한다면 그 시점이 다가올 텐데 지금은 아직 공식 의제로 다루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이해식 수석대변인은 “빠른 속도로 많은 분들이 서명에 동참하고 있어 추이를 면밀하게 보고 있다”면서도 “어떤 입장을 낼지 등에 대해선 아직 논의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조국혁신당은 “청원인이 제기한 윤 대통령의 탄핵 사유를 꼼꼼히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국민들께서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들보다 앞서 달려가고 계신다”며 “조국혁신당은 민심을 받들겠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국회 법사위는 헌법에 따라 ‘윤 대통령 탄핵 소추안 발의’ 청원을 심사할 예정”이라며 “조국혁신당은 국민 청원에 대한 국회 심사가 본격화되면, 청원인이 제기한 윤 대통령의 탄핵 사유를 꼼꼼히 들여다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례를 언급하며 “박 대통령을 탄핵한 것은 국민으로 국회와 헌법재판소는 민심을 따라 형식적인 절차를 마무리했을 뿐”이라며 “국민의힘과 국가 국가권력기관들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격노가 아니라 국민을, 성난 민심을 두려워해야 할 것이다. 조만간 국민의 편에 설 것인가, 윤 대통령 부부 편에 설 것인가, 선택할 순간이 온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