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서구가 ‘구민 행복’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끝마치고 이를 토대로 본격적인 ‘행복 도시’ 만들기에 나선다.
서구는 지난 30일 ‘주민 행복 측정 및 행복 정책 선순환 체계 개발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그동안 진행한 주민 만족도 조사와 정책 성과분석, 행복 지표 설계 등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이날 보고회에선 용역 수행기관인 (사)한국행정학회에서 ▲서구형 행복 지표 체계 설계 ▲주민 행복 만족도 조사(정량분석) ▲행복 정책 사업성과 분석(정성분석) 등을 발표했다.
더불어 서구 행복 정책 진단과 기존사업 개선방안 도출, 생활권역별 주민 중심 ‘행복 프로젝트’ 중점 강화 사업 등 행복 정책 선순환 체계 개발 관련 용역 결과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올해 3월 시작돼 지난 6개월 동안 주민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사업 성과분석, 심층 면접,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실제 주민들이 체감하는 행복 정책과 사업을 도출하기 위해 힘을 쏟아왔다.
서구에서 추진한 행복 정책에 대한 분야별 개선사항을 찾아내고 행복 수준·사업 간 정책 연계 관리방안 개발을 통해 서구만의 ‘행복 지표’와 정책 간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자 여러 차례 열띤 논의를 이어왔다.
특히,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주민이 느끼는 행복과 정책의 상관관계와 정책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정책 입안에 반영함으로써 ‘구민이 공감하는 행복 정책’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사)한국행정학회 연구진은 “서구는 지역이 당면한 실질적 문제들에 대해 시급한 것에 초점을 두고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해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타 지자체에 비해 정책 역량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혁신 기준의 관점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다만, 사업 추진 시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업에 대한 유형적 체계화를 바탕으로 전략적 홍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재현 서구청장은 “이번 용역의 결과를 토대로 ‘주민 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서구만의 특화되고 선순환적인 행복 정책을 펼쳐 구민이 중심이 되는 ‘행복 도시 서구’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