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10일 오는 12일부터 13일까지 남북당국회담이 서울에서 열리는 것과 관련해 "북한을 위해서라도 우리를 위해서라도 이 회담을 성공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북한은 한국과의 관계를 돌파해야 자신들이 필요한 외화, 달러 경제지원 등을 받을 수 있겠다는 판단하에 마지막 접근을 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하 의원은 북측 회담 대표로 누가 나와야 되는가에 대해 "통일부 장관에 해당되는 북측 파트너가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라며 "노동당의 통일 문제를 책임지는 사람이 나와야 서로 격이 맞는 것인데 북한 입장에서는 지금 여기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회담에서 다뤄야 할 의제와 관련해 "회담을 할 때 상대편이 싫어하는 의제를 던지면 회담이 깨진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그것보다도 우리가 회담을 하는 목적과 원칙이 무엇인지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원칙을 밝혔다.
이어 "과거 남북회담을 할 때는 납북자 국군포로 문제도 포함시켰다"며 "그 이유는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 문제가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이번에 라오스 탈북자 문제가 우리 사회에서 굉장히 논의가 많이 됐는데도 정작 중요한 남북대화 채널에서 이것은 없었던 것으로 하자는 식으로 아무런 얘기를 안하는 것은 우리 사회 자체에 대한 불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라오스 탈북자들을 한국으로 데려오자는 것은 지나친 요구일 수 있지만 생사를 확인하는 것은 금강산 관광재개,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된 문제가 진척된 이후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며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납북자 국군포로와 탈북자 문제도 부분적으로 물어볼 수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하 의원은 라오스 정부에 탈북자 강제 추방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한 것과 관련해 "외교라는 것은 압박과 회유가 같이 병행돼야 한다"며 "정부의 입장에서는 압박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국회는 압박을 해줘야 한다는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남북당국회담이 있는 동안 국회는 국회가 할 일을 하면서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며 "북한이 군사훈련을 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회는 마땅히 역할해야 한다. 북한 인권법 문제와 같은 경우는 국회에서 계속 논의를 해야 한다"고 의견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