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의당 노회찬 공동대표는 31일 '노동도 중요한 정치의제 중 하나'라고 말한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관계에 대해 "실체가 등장하고 성격이 분명해지면 그에 맞춰서 저희들도 관계를 설정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노회찬 공동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 '김창옥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연대와 경쟁 꼭 하나만 선택해야 되는 문제는 아니다. 보수정당이라고 할지라도 노동을 중시하고 진보정책을 선호한다면 또 그런 차원에서의 사안별 연대도 생각해볼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표는 안철수 신당이 민주당보다 넓은 스펙트럼을 가질 것이란 전망에 대해 "민주당도 지금 스펙트럼이 넓어서 문제였는데 민주당보다 더 스펙트럼이 넓은 당이 생긴다면 그게 한국의 정당정치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매우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슷한 정당끼리 경쟁하다 보니까 결국에는 영남이니 호남이니 비본질적인 문제가 더 앞장서게 되고, 또 지도자가 누구냐에 따라서 달라지는 불안정성이 크다"며 "한국정치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도 과거의 지역주의 정당이나 인물중심의 정당을 벗어나는 정책중심의 정당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민주노동당'으로 당명 변경을 제안한 것과 관련, "이제 우리 사회도 많이 발전하고 복지국가로 가는 과정에서 몇 가지 진보적인 정책만 가지고는 사실 설명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저희들 나름대로 혁신하는 진보의 상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도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여론이 꽤 있는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진보정당이 추구하고 있는 북유럽 사회민주주의 국가모델, 그 사회민주와 그리고 이제 폭넓게 일하는 사람들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기 때문에 '노동을 중심으로 한다'라는 뜻까지 포함해서 사회민주+노동으로 해서 사회민주노동당이라고 이렇게 제안됐다"고 밝혔다.
그는 시간제 일자리 문제와 관련, "동일한 노동에 동일한 임금이 지급되고, 불합리한 차별들이 제거된 일자리라면 시간제든 다양한 근무형태를 고려해볼 수 있다"며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는 제도를 설계하지 않는다면 그냥 정부가 뭔가 노력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일회용 이벤트로 끝날 우려도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임시직 같은 경우는 (급여를) 정규직의 30%밖에 못 받는 걸로 통계가 나오고 있는데 그런 이제 임시직과 그 다음에 절반도 채 못 받고 있는 비정규직 부분에 대한 차별을 완화해 나가는 실질적인 계획을 세우는데 1차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진전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아들의 국제중 부정입학 의혹과 관련, "누구라도 그런 식의 부정을 통한 특혜 입학을 시도하는 건 아이를 학대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국민세금이 그런 특수층의 자녀를 교육하는데 낭비될 순 없다. 특권층 학교인 국제중, 국제고 폐쇄를 이 기회에 적극 검토해야 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