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국제중학교 입학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에 본격 착수하자 향후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제중 입학 비리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신성식)는 28일 영훈국제중학교와 학교 관계자 자택 등에 검사와 수사관 20여 명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입학 관련 전산자료, 서류 등을 확보했다.
검찰의 압수수색은 지난 20일 서울시교육청이 수사를 의뢰한지 9일 만에 이뤄졌다. 검찰의 영훈국제중 압수수색은 수사 의뢰 초기부터 어느 정도 예상됐지만 평소처럼 신중한 모양새를 취할 것으로 관측이 우세했다.
하지만 검찰은 '시간끌기'가 아닌 '정공법'을 택했다. 검찰이 수사의 자신감을 보이며 '속전속결'로 수사를 진행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압수수색은 오후 3시30분께 시작돼 5시간30여분 만인 오후 9시께 마무리됐다. 검찰 관계자는 "압수품 분량이 방대하고 '디지털 포렌식팀'이 함께 나가서 컴퓨터 자료를 복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말했다.
검찰은 본격적으로 학교운영 관련 서류와 전산자료 등 압수물 분석에 착수할 예정이다. 정공법을 선택한 검찰의 압수물 분석 역시 오래 걸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교육청은 감사 과정에서 논란이 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아들의 사회적배려대상자 입학 전형 합격 과정 의혹과, 편입학 대가로 금품이 전달됐다는 의혹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해 부실감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따라 법조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속전속결로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이번 입학 비리 의혹은 국제중의 존재이유까지 흔들릴 정도로 파장이 큰 사안이라 검찰의 '속도전'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검찰은 수사 시나리오에 따라 관련자들에 대한 소환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검찰은 지난 3월 '2000만원의 뒷돈을 내고 자녀를 합격시켰다'고 폭로한 학부모를 최근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영훈국제중 교감 등 학교 관계자들의 줄소환은 물론 대질 심문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압수물 분석 결과에 따라선 검찰의 칼날이 국제중 입시 비리 의혹을 넘어서 국제중 설립과 운영실태, 금품수수 등으로 향할 가능성도 있다.
이 과정에서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검찰은 수사 속도를 다소 늦출 가능성도 있다. 이후 확보한 증거자료를 바탕으로 법리적 검토를 통해 기소 대상자를 선별해 법원에 기소하게 된다.
공은 검찰로 넘어왔다. 정공법을 택한 검찰이 국제 입학 비리 의혹을 본격적으로 파헤치기 시작하면서 향후 수사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