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27일 사무총장과 지명직 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 구성과 관련, "변화를 체감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인사"라고 말했다.
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외부인사 영입문제와 관련, "젊은 사람, 직능별 대표성 있는 분들 몇 분 접촉을 했는데 대체적으로 민주당의 이런 접촉에 대해서는 상당히 적극적이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다만 선거 때가 아닌 상황에서 당에 입당하는 문제에 대해서 상당히 적극적인 결정을 못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인재영입 기준으로 "민생 밀착형이면서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가 집단, 이런 쪽에 우리가 초점을 맞춰서 가야 한다"며 "당에 입당하지 않고도 당의 지도부와 당 대표에게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자문 위원 같은 방식, 특보단 같은 방식을 광범위하게 구성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만나왔던 특히 젊은 층, 현재 국민들이 볼 때 참신한, 새로운 그런 시민운동, 사회운동, 사회공헌 했던 분들을 접촉했다"며 "대체적으로 고마워하고, 기꺼이 당과 같이 도움을 받기 원하고 대화를 하기 원하는 분들이 계신데 그런 분들을 대표와 만나게 하는 모임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최장집 교수가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정책네트워크 '내일'의 이사장을 맡기로 한 데 대해 "우선 최장집 교수와 장하성 교수 등 좋은 분들은 영입했고 참 부럽게 생각한다"면서도 "민주당은 인사 영입을 두고 안철수 진영과 전혀 경쟁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철수 신당과 민주당의 운명은 상호 의존되어 있다"며 "안철수의 실험이 성공해야 민주당이 집권 할 수 있고, 민주당의 협조 없이는 안철수 신당이 성공하기 어려운 아주 기기묘묘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안철수가 없고 안철수 신당의 도움 없이, (민주당이) 야당으로서의 특권을 누리면서 계속 안주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금 현재 우리에게 채찍, 피 말리는 경쟁이라는 하나의 보약을 우리가 갖게 됐다고 생각한다. 민주당은 쇄신과 변화에 박차를 가하면 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의 민주당 입당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3신당을 만들어야 정치적 유의미성을 갖게 된다고 주장하는 최장집 교수를 영입한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