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8 10:34 (금)
교사 10명 중 7명 "학폭 조치 사항 학생부 기재, 도움 안돼"
상태바
교사 10명 중 7명 "학폭 조치 사항 학생부 기재, 도움 안돼"
  • 엄정애기자
  • 승인 2013.05.14 12: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직 교사 10명 중 7명은 학교폭력 조치 사항 학생부 기재 방침이 학교폭력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인권친화적 학교+너머 운동본부가 지난달 8일부터 23일까지 전국 16개 시도 초·중·고 교사 1007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정부대책에 대한 현장실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에서다.

14일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0.4%는 '교육부의 학교폭력 조치사항 학생부 기재가 학교폭력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폐쇄회로(CC)TV 확대설치'에 대한 부정적 응답도 62.3%에 달했다. 이는 교사들이 상담사 배치 등 학교 폭력 당사자의 치유를 돕는 시스템이 아닌 감시와 징벌 위주의 학교 폭력 대책은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학교 폭력 생활기록부 기재'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6.5%가 '생활기록부 기재 정책 때문에 사안에 개입하는 것이 어려워졌다'고 응답했다.

'교육부의 교육정책과 학교 폭력의 상관관계'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7.3%가 '고교 선택제, 자립형사립고 정책, 일제고사 등 경쟁교육 정책이 학교 폭력 심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교사들은 학교 폭력 해결을 위해 현장에 꼭 필요한 정책으로 '교원업무 정상화'를 꼽았다.

이 외에도 학교 폭력 위험 학년부터 단계적으로 학급당 학생수 축소, 정규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생활교육 및 학생자치활동시간 보장, 인권 친화적 학교문화 조성 등의 의견도 있었다.

인권친화적 학교+너머 운동본부는 "학교 폭력 해결을 위해서는 징벌 중심의 학교폭력 해결절차를 교육 중심의 회복적 절차로 전환해야 한다"며 "인권과 평화의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학생 참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