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국정원 차원의 조직적인 정치·선거 개입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수사 대상과 범위를 확대했다.
국가정보원 정치 개입 의혹 등의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윤석열 부장검사)은 9일 소셜네트워크(SNS) 상에서 국정원이 조직적으로 관여한 정황을 포착, 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국정원 심리정보국 직원들이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를 통해서도 정치나 선거 관련 게시글, 댓글 등을 조직적으로 올린 것으로 보고 관련 물증을 확보하기 위해 수사대상을 늘렸다.
앞서 검찰은 '오늘의 유머', '보배드림', '뽐뿌', '디시인사이드', '일베저장소' 등 10여개 사이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국정원 직원의 계정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아이디(ID)를 다수 발견하고 조사대상을 15개 사이트로 확대했다.
이를 위해 국정원 직원들이 '댓글 작업'에 이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민등록번호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토대로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관련 자료를 제출받았다.
검찰은 이들 15개 사이트에서 지난해 총선 전후 시점부터 대선 무렵까지 국정원 직원들이 정치나 선거와 직접적으로 연관있는 게시글이나 댓글 등을 게재한 사실을 상당수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검찰은 국정원 옛 심리정보국의 '댓글 작업' 성격과 규모, 내용 등을 명확히 규명하고 여기에 가담한 다른 국정원 직원이나 이를 지시한 '윗선'의 개입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SNS로 넓힌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인터넷 사이트와 SNS 상에서 조직적으로 이뤄진 활동이 국정원 차원의 종북 세력 심리전 대응인지, 아니면 특정 정치인에 대한 지지·비방으로 정치·선거에 개입하려 했는지 여부 등에 대해 가능한한 빠른 시일내에 결론을 낼 예정이다.
검찰 관계자는 "(댓글)내용이나 패턴은 똑같기 때문에 인터넷사이트에서 올려진 글이나 트위터에서 올려진 글이나 똑같다. SNS라고해서 크게 변화하는건 아니다"며 "어떤 글이고 무슨 내용인지, 얼마만큼 활동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전날 경찰 수뇌부의 수사 축소·은폐 의혹을 제기한 권은희(39) 서울 송파경찰서 수사과장과 수서경찰서 수사팀 관계자 1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검찰은 지난 7일 경찰로부터 감찰 관련 자료를 제출받은데 이어 전날에는 권 과장한테서 경찰 상부의 외압 의혹을 방증하는 자료를 건네받아 검토에 들어갔다.
권 과장에 대한 조사를 마친 검찰은 이번 주부터 국정원 여직원의 컴퓨터 2대 등 압수물을 분석했던 수서경찰서 수사팀과 서울경찰청 사비버범죄수사대 관계자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할 계획이다. 이어 경찰 지휘부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조만간 수서경찰서장을 출석시켜 대선을 이틀 앞두고 심야에 수사결과를 발표한 경위 등을 조사한 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실제 수사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는지 등을 추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