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7 16:44 (목)
[현대차 주말특근 거부] '만원의 전쟁'…진실은?
상태바
[현대차 주말특근 거부] '만원의 전쟁'…진실은?
  • 엄정애기자
  • 승인 2013.05.09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용문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지난달 26일 현대자동차그룹과의 협상을 통해 노조 요구액의 96.2%에 해당하는 특근수당을 받아내기로 했다. 노조는 휴일특근 수당으로 46만원을 요구했고, 사측은 44만9965원을 주기로 했다.

사실상 현대차가 백기를 들고 노조의 요구를 모두 들어준 셈이다.

하지만 현대차 주말특근은 지난 주말에도 불발됐다. 현대차 울산 공장은 기계음 대신 적막이 감돌았다. 주말특근은 9주째 무산됐고, 생산 차질은 이미 6만3000여대(1조3000억원)를 넘어섰다.

현대차 노조 내 1~5공장 사업부 대표는 노조 집행부가 합의한 주말특근 임금보전안에 대해 지부장의 '직권조인'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부족한 '만원의 전쟁'인 셈이다.

이들은 노조위원장의 공개사과와 함께 임금·단체협약 교섭에서 주말 특근 재협상 등을 요구하며, 주말특근을 계속 거부하겠다는 입장이다.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지난달 22일부터 양재동 현대차 본사 앞에서 노숙투쟁도 벌이고 있다.

◇불만은 부족한 1만원? 진실은?

문 노조위원장이 윤갑한 현대차 사장과 합의한 내용은 ▲기존 밤샘특근 폐지 ▲주간연속 2교대(8+9) 체제로의 주말특근 전환 ▲과거 비효율 특근 관행 정상화 등이었다.

노조는 요구했던 금액보다 1만원 부족한 44만9965원을 보장받고, 1조는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3시30분까지 8시간(20만6162원), 2조는 오후 3시30분부터 다음날 오전1시30분까지 9시간(24만3803원) 근무하기로 한 것. 시간당 약 3만을 받게 되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현장 제조직 및 대의원들의 노조 집행부 흔들기로 보고 있다. 오는 9월로 예정된 노조집행부 선거를 염두에 둔 액션이라는 것이다.

이번 합의가 현대차와 노조측이 지난 3월부터 2달 가까이 진행한 휴일특근 협의를 통해 이뤄진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현장 제조직들은 유인물을 통해 "지금껏 어렵게 쟁취한 노동강도 완화 목적의 기득권을 모두 내준 졸속합의"라며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협의 당사자였던 대의원 대표들은 문 지부장이 자신들의 뜻과 달리 졸속으로 직권조인을 했다며 집행부 불신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탐욕으로 어그러진 노조…지부장되면 조합비 수백억원에 정계 진출까지?

현대차 내에는 7개의 주요 현장 제조직이 존재하고 있다. 강성좌파에는 문 지부장이 속한 금속연대와 민투위, 민주현장 등 3개 조직 390여명이, 중도좌파에는 현민노, 들불, 소통과 연대 140여명, 실리주의파에는 현장노동자 420여명의 조합원이 등록돼 있다.

현대차 노조 지부장은 웬만한 소도시 인구수와 맞먹는 4만5000여명에 달하는 조합원을 대표하고, 연간 200여억원 이상의 조합비(별도 적립금 포함)를 운영하는 현장 최고의 권력이다.

회사 내에선 공장장 등 고위 경영진들과 동등한 위치에 설 수 있으며, 밖으로는 국회의원, 지역 자치단체장 등 외부 고위 인사들과 교류를 갖는 특권계층에 포함된다.

지부장 선거에서 현장 제조직 출신의 후보가 당선되면 그 낙수효과는 해당 제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런닝메이트로 같이 출마한 수석부위원장, 사무국장 등은 물론 집행부를 구성하는 여러 상집간부, 각종 위원회 등 주요 요직을 해당 제조직 구성원들이 모두 나눠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의원이란 직함만 달아도 ▲주말 특근 ▲UPH(시간당 생산속도) ▲물량 이관 ▲전환배치 등 현장 내 주요 생산현안 결정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막강한 권력을 자랑한다. 현대차 내에는 490여명의 대의원과 이들을 대표하는 9명의 사업부대표가 존재한다.

이외에도 노조 내에는 111명의 전임자(유급 19명, 무급 92명)가 활동 중이며, 이들은 생산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노조 사무실에서 노조 업무만 전담하고 있다. 또 교육위원, 선관위, 지역감사 등 일정 기간 노조 업무만 보는 한정적 전임자 인원도 28명에 달한다.

노조 집행을 통한 활동 경력은 활동가로서 자신의 인지도 고취는 물론 더 큰 외부 정치무대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이 되고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현대차 노조 출신 간부들은 정계나 노동계로 진출한 이들이 상당하다. 노조 지부장이나 간부로 활동하며 얻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노동계 상급단체장, 지방자치단체장, 구·시의원, 국회의원 등 외부 정치무대로 나가고 있는 것.

특히 올해는 9월에는 2년마다 한번씩 있는 노조 지부장 선거가 예정돼 있어 7개 주요 현장 제조직간의 정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결국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노노간 치열한 다툼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끊임없는 집행부 흔들기를 통해 노조 집행부 교체의 필요성을 여론화하고, 유권자인 조합원들을 상대로 자신들의 투쟁력과 강성 이미지를 과시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로 인해 현대차의 한숨은 깊어져만 가고 있다. 노조의 요구를 거의 다 들어줬음에도 불구하고 노노간의 커져만 가는 갈등에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