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공단에 마지막까지 남게 된 우리 측 인원 7명이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간 마지막 '대화의 끈'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개성공단 최후 인원 7명의 귀환 여부는 폐쇄라는 '시한부 삶'을 선고 받은 개성공단의 산소호흡기를 떼느냐 마느냐를 결정하는 것은 물론, 향후 남북관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자칫 이들이 인질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남북간 미수금 문제를 논의하는 이번 주가 개성공단이 폐쇄 수순을 밟느냐, 아니면 가동 정상화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할 지를 결정 짓는 중대 고비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북한은 29일 우리 측 인력 50명 가운데 43명에 대해서만 귀환을 허용하고, 7명은 남겨두기로 했다.
북측은 이날 우리측 인원이 귀환하기 전에 미수금 지급을 요구하며 우리 정부와 협의를 벌여 귀환이 당초 예정 시간 보다 7시간이나 늦어졌다.
남게 된 7명은 홍양호 위원장을 포함한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직원 5명과 통신을 담당하는 KT 직원 2명이다.
이와관련, 일각에서는 북한 측이 미수금 해결을 볼모로 이들 7명을 인질로 남긴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입주기업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인질을 자처한 것"이라는 말까지 나돌았다.
남북간 협의가 지연되면 현지 체류가 장기화 돼 '자발적 잔류'가 아닌 '억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그러나 "미수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 차원에서 남아 있는 것이지 볼모로 잡힌 것은 아니다"고 못박았다.

이 당국자는 7명의 귀환시기에 대해 "그렇게 빨리 될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국민의 신변보호를 최우선으로 하고 추가 협의를 마무리 짓겠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 사이에서는 잔류한 7명에 대해 안타까워하면서도 이들이 폐쇄 위기에 놓인 공단을 정상화시키는 데 구세주 역할을 해주기를 내심 기대하는 분위기다.
개성공단 현지에 아무도 남아있지 않은 것 보단 희망적인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 개성공단입주기업 법인장은 "50명이 전원 철수한 것보다 나은 상황이긴 하다"며 "실끈이라고 있는 것이 낫지 않겠냐"고 말했다.
그러나 잔류 인원 귀환의 관건이 된 미수금 문제를 두고 남북의 이견이 클 경우 정산을 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3월분 임금(약 800만 달러)과 일부업체 체불임금, 기업 소득세, 통신료 등을 요구했고, 이에 맞서 정부는 입주기업들이 남기고 간 완제품과 원자재의 수송 문제 해결, 개성공단 정상화를 거론했다.
또 우리 정부와 북한은 남북이 공동으로 운영해온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의 차량 소유권, 공장 시설의 봉인, 시설 경비 등의 문제를 두고 논란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남한 정부가 현지 인원의 전원 철수 방침을 분명히 했고 북한 스스로 남한 인원의 안전한 철수를 보장한 만큼 실무협의 과정에서 남한과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는 현실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3월 임금을 비롯해 일부 업체에서 체불된 임금과 기업의 소득세, 통신료 등을 요구했지만 무리한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우리 입장에서는 개성공단 파행의 책임은 북한에 있지만 줄건 주고 요구할 것은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