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는 26일 본회의를 열고 박근혜 정부의 초대 각료들을 상대로 경제·교육·사회·문화 분야와 대정부질의를 실시한다.
이날 대정부질문 대상은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해 외교부 윤병세, 통일부 류길재, 법무부 황교안, 국방부 김관진, 유정복 안행부 장관 등 모두 18명이다.
여야는 이번 대정부질문을 통해 추가경정예산 운영계획을 비롯한 경제민주화 공약 후퇴 논란 등이 도마위에 오를 전망이다.
특히 이번 대정부질문에서는 박근혜 정부에서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와 해양수산부의 정책 등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질문 포화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 의원들은 방송의 공공성·공정성 확보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미래창조과학부가 창조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미래부가 창조경제 확산과 ICT(정보통신기술) 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허브(Hub)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여부를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해수부 윤진숙 장관도 이날 국회 본회의에 데뷔한다. 야당 의원들은 윤 장관을 상대로 해수부 현안 및 업무추진계획, 향후 비전 등을 따져물으며 송곳 검증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윤 장관은 소관 상임위에서 자질 논란으로 사과를 하는 등 홍역을 치른바 있다.
분야별로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따른 한반도 위기 대책을 비롯해 세계 경제위기 이후 제자리 걸음을 유지하고 있는 경제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 등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 분야에서는 지난 대선기간동안 박근혜 대통령의 사회복지재원 조달 방안 등과 대선공약 추진 현황 등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야당측에서는 국정원이 지난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비롯해 경찰의 고위층에서 사건을 축소·은폐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 등을 이날도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대정부 질문에는 새누리당 황영철·김종훈·이만우·김희국·이강후 의원, 민주통합당 이낙연·김현미·전순옥·윤후덕 의원, 진보정의당 박원석 의원 등 모두 10명이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