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은 22일 '대체공휴일제' 도입을 재계가 반대하는 것과 관련해 "대체휴일제를 도입하면 경제적 손실이 32조원이라는 재계 주장이 무슨 근거로 했는지, 명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재계 입장에서 굉장히 경직적이고 부정적인 측면만 고려해서 내놓은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재계는 최근 대체휴일제 도입시 추가부담 인건비 4조 3000억원, 조업일수 감소에 따른 생산감소액 28조 1000억원 등 32조 4000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며 제도 도입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황 의원은 "대체휴일제를 시행할 경우에 약 24조 5160억의 사회경제적 순편익과 10만 6835개 신규일자리 창출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지난 2010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자료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체휴일제가 도입됨에 따라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해 국내 여행일수가 늘어나는 등 새로운 생산유발 효과와 내수진작 효과, 이런 측면으로 봤을 때 서로 감가되는 측면이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상당부분 가치의 논쟁과 또 어떤 것이 정확한 팩트인가에 대한 논쟁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 포털사이트에서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대체휴일제 도입에 대해 70.8%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왔다"며 "국민 전체 삶의 질 측면에서 봤을 때 많은 분들이 이 부분에 대해 찬성하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