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는 14일 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의 대화 제의를 사실상 거부하는 반응을 내놓은 데 대해 "의도를 분석 중"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뉴시스와 가진 통화에서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이 내놓은 입장과 관련해 배경을 두고 면밀하게 분석 중임을 밝히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조평통이 통전부(노동당 통일전선부) 산하인 만큼 뭔가 (이 같은 입장을 내놓은) 의도가 있을 것 아니겠느냐"며 "배경이 뭔지 의도를 분석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한 논의를 위해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조평통의 입장 발표가 나온 직후 관계자들을 소집해 회의를 연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날 오후 조평통 대변인은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대해 "아무 내용이 없는 빈껍데기에 불과하다"며 "개성공업지구를 위기에 몰아넣은 저들의 범죄적 죄행을 꼬리자르기 하고 내외여론을 오도하며 대결적 정체를 가리우기 위한 교활한 술책"이라고 밝혔다고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전해, 대화 제의를 사실상 거부하는 듯한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1차적 반응으로 보인다. 조평통 대변인이 기자와의 문답에서 나온 입장이라 격이 맞지 않고 공식 반응은 담화나 성명을 통해 나올 것"이라며 "북한이 앞으로 대화 성사 여부가 남측 태도에 달려있다고 언급한 만큼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청와대는 이후에도 아직 대화 거부로 단정하긴 어렵다는 통일부 공식 입장을 들면서 신중한 반응을 유지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통일부의 입장 발표 이후 "모든 공식 브리핑은 통일부에서 원보이스로 나간다"며 직접적인 입장 표명을 보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