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에도 정치권의 초점은 '인사'에 맞춰질 전망이다.
장·차관급 인사 6명 낙마 사태가 불거진 가운데 아직도 인사청문회 일정이 빠듯하게 잡혀있기 때문이다.
남은 후보자들의 추가 낙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야권의 공세도 예상돼 '4월 청문회 정국'은 박근혜 정부에게 적잖은 부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4월도 청문회의 달…새 정부 '고비'
현재까지 예정된 청문회 일정은 총 4개다. 국회는 4월1일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2일에는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내정자와 채동욱 검찰총장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키로 했다.
미래부와 해수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청문회는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지연으로 뒤늦게 날짜가 잡혔다. 특히 미래부 장관 인선은 김종훈 전 내정자가 사퇴하면서 진통을 겪었다. 두 곳 모두 새 정부에서 신설·부활된 부처여서 그만큼 청문회에 대한 주목도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4월8일과 9일에는 이동흡 전 내정자의 후임인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내정자 청문회가 예정돼 있다. '비리의혹 백화점'이라고 불리던 이 후보자가 사퇴한지 약 1달 만에 열리는 것이다.
조용호·서기석 헌법재판관 내정자의 경우, 청문요청서가 국회에 제출된 상태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 내정자에 대한 청문회 일정도 마찬가지로 미정이다.
최근 자진사퇴한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와 김학의 법무차관의 후임 인선도 아직 남아있다. 새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는 청문회 절차까지 통과해야 임명장을 받을 수 있다.
인사난맥상이 핵심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청문회 정국이 길어지는 점이 자칫 새 정부의 초반 동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청문회 난항 예상…野, 검증 공세 예고
남은 청문회가 원활하게 진행될 지도 미지수다. 일부 후보자를 둘러싸고 각종 의혹이 제기되는 한편 야당은 현미경 검증을 예고하고 있다.
4월 첫 청문회 대상인 최문기 미래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서는 재산 불법증여, 수상한 현금거래, 세금탈루 등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아울러 청문회를 앞두고 증여세 2291만원을 5차례에 걸쳐 뒤늦게 납부한 점도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경재 방통위원장 내정자와 박한철 헌재소장 내정자의 청문회도 난항이 예상된다. 민주통합당은 친박 핵심인사인 이경재 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의원의 내정에 대해 "방송장악 의도"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미디어악법 날치기의 주역이나 '주물러' 성희롱 발언의 주역"이라며 "제2의 방통대군 방송장악 시즌 2를 막는데 주력하겠다"고 철저한 검증을 예고했다.
민주당은 박한철 헌재소장 내정자에 대해서도 부적절한 인사라며 내정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 박용진 대변인은 "헌재소장에 대표적인 공안검사 출신인 박 재판관을 지명한 것은 '공안 헌재'를 우려하게 하는 부적절한 지명"이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녹록치 않은 상황 속에서 여권 내부의 긴장감도 감지된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추가 낙마자가 1명이라도 더 나오면 새 정부에 치명타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며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