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기금 출범에 따른 빚 탕감 기대감으로 가계신용대출의 연체율이 급등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월 국내은행의 대출채권 연체율이 1.26%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1.00%로 연체율 저점을 찍은 후, 지난 1월(1.17%)에 이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가계신용대출의 연체율은 지난 1월(1.08%)보다 0.13% 포인트 증가한 1.21%를 기록하며, 연체율 상승에 큰 부분을 차지했다. 가계신용대출의 연체율과 거의 비슷한 폭으로 움직였던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이 0.05% 포인트 늘어난 데 그친 것을 감안하면 기형적으로 높게 상승한 것.
지난해 8월(1.23%)이후 매달 감소세를 보이던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이 이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업계 관계자들은 국민행복기금에 대한 기대감이 이같은 수치를 이끈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최근 부채 탕감 등 채무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행복기금 출범이 예정되면서 이로 인한 혜택을 받기 위해 일부러 대출을 갚지 않는 사람이 늘어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체율 상승은 최근 경영악화에 빠진 건설업과 이에 관련한 부동산PF대출 등의 기업대출 연체도 한 몫했다.
기업대출은 지난 달(1.34%)보다 0.11%포인트 증가한 1.45%의 연체율을 보였는데, 특히 부동산PF대출과 건설업종의 연체율이 심각한 수준이었다.
부동산PF대출의 연체율은 기업대출 연체율 중 가장 높은 6.66%(1.49%p↑), 건설업은 2.68%(0.46%p↑)의 수치를 나타냈다.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선박건조업과 해상운송업 역시 각각 1.90%(0.34%p↑), 0.82%(0.10%p)의 연체율을 기록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의 역시 지난달(1.50%)보다 0.15%포인트 증가한 1.65%를 기록했고, 가계대출은 0.05% 포인트 늘어난 1.04%의 연체율을 기록했다.
한편 지난 2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은 1110조2000억원으로 전월말 대비 3조2000억원(0.3%)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채무자에 대해서는 만기연장 및 장기분할 상환 등 프리워크아웃을 유도하고, 대외 충격시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부실채권의 조기 정리를 독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