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는 최근 서울시가 ‘노인’이란 명칭을 ‘어르신’으로 바꾸어 사용하라는 일괄적 지침이 함에 따라 대상자들의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동별 3개소씩 60개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어르신 6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의견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60명 중 88%에 해당하는 53명이 어르신으로 호칭을 바꿔 부르는데 찬성하였다. 나머지 7명은 어떤 호칭도 무방하다는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
경로당을 어르신사랑방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는 72%인 43명이 공감하였으나, 17명은 혼선이 우려된다며 병행사용해 주길 바랬다. 하지만 노인복지센터를 어르신복지센터로 바꿔도 좋은가하는 질문에는 모두 찬성한다는 예상 밖의 의견도 나왔다.
구는 이번 조사결과, 어르신으로 불러지기는 원하나 자주 찾는 경로당의 경우 혼선을 우려했던 만큼 명칭이 생활화 되었을 때 점차 활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구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문서와 행정용어에 쓰이는 호칭부터 즉시 개선키로 했다.
구청 내 행정조직인 노인청소년과는 어르신청소년과로, 노인복지기금은 어르신복지기금으로 명칭개정을 위해 연말까지 조례개정을 완료한다. 부서 내 노인행정팀, 노인시설관리팀, 노인생활지원팀은 부서 명칭 개정 후 노인 부분을 어르신으로 변경한다.
관내 봉제산․연지․화곡노인복지센터는 내년 상반기 중에 점차 어르신복지센터로 명칭을 변경해 나갈 계획이다. 다만, 경로당과 노인교실은 각각 어르신사랑방과 어르신문화교실로 변경하되, 혼돈을 방지하고자 당분간 병행 사용키로 했다.
아울러 노인일자리, 고령자 취업알선센터, 노인전문자원봉사단, 노인돌봄서비스 등은 정부사업인 만큼 어르신 용어와 병기 사용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은 법령개정 전까지 유보키로 했다.
설문대상 89%가 변경에 찬성, 11%는 어떤 호칭도 무방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