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8 10:34 (금)
서울시, 유니클로 “돕고싶다”에 역효과 난다며 난색
상태바
서울시, 유니클로 “돕고싶다”에 역효과 난다며 난색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9.08.15 1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위기 자체가 조심스러워”
▲ 유니클로 매장 내 비치될 캠페인 홍보물

일본 아베정부의 수출규제로 반일감정이 고조되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 지방자치단체와 일본 기업의 사회공헌사업까지 위축되는 모양새다.

서울시와 일본 패스트패션 기업 ‘유니클로’는 저소득층 복지사업을 벌여왔지만 최근 일본정부의 수출규제로 인해 사업이 중단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2017년부터 매년 한국 유니클로와 저소득층 복지사업을 펼쳐왔다. 한국 유니클로 운영사는 에프알엘 코리아다. 

에프알엘 코리아는 패스트 리테일링(일본기업)과 롯데쇼핑간 합작법인이다.

유니클로는 2017년말부터 지난해 초까지 서울시·카카오와 함께 한 ‘거리의 천사가 되어주세요!’ 캠페인을 통해 노숙인들에게 의류를 전달했다. 

서울시 소재 50여개 유니클로 매장 역시 의류 모금함을 설치하고 방문고객으로부터 평소 입지 않는 옷을 기부 받았다. 

이 캠페인을 통해 유니클로는 지난해 2월 서울 노숙인 500명에게 발열내의 1000장과 기부받은 의류 3만646벌을 전달했다.

지난해 연말에도 유니클로는 서울시, 카카오 같이가치와 함께 에너지빈곤층 지원을 위해 ‘다가온(多家溫) 서울’ 온라인 모금함을 운영했다. 

누리꾼이 카카오 같이가치 웹사이트 모금함을 통해 공유, 댓글 등에 참여할 때마다 1건당 3000원이 기부됐다. 

유니클로는 적립된 기부금과 같은 금액을 기부해 발열내의를 빈곤층에게 전달했다. 이를 통해 올해 초 서울 취약계층에 전달된 의류는 2만6131벌이다. 금액은 5611만2500원 상당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서울시와 유니클로의 협력사업이 불발될 가능성이 커졌다. 

일본 아베 정부의 수출규제로 반일감정이 고조되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일본계 기업과 사업을 벌이는 것 자체가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유니클로 대신 국내 의류업체인 탑텐이나 이랜드 등과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유니클로는 사회공헌활동을 계속 하고 싶다며 서울시와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