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행안부에 따르면 공무직노동조합은 지난 24일부터 세종정부2청사 앞에서 총파업을 예고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릴레이 1인 시위에 들어갔다.
용역업체 소속 비정규직에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노동 조건이 오히려 악화됐다는 게 이유다.
특히 정부의 지침대로 임금과 명절 상여금이 삭감돼 삶을 영위하기가 힘들어졌다고 호소한다.
진석주 공무직노조 위원장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에 따라 용역노동자들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돼 고용이 안정됐다고 여겨질테지만 사실 더 열악해졌다”며 “임금은 용역 시절보다 평균 10%, 상여금은 20% 삭감됐다. 하지만 노동시간은 늘었다. 무기계약직 전환 전 수준으로 원상회복 시켜달라는 것으로 무리한 요구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공무직노동조합은 세종·서울 등 11곳 정부청사 시설관리·청소 근로자 약 1100명으로 결성된 노조다.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지난해 1월부터 정부가 무기계약 형태로 직고용했다.
임금 체계는 호봉제가 아닌 직무 유형과 난이도에 따라 1~7등급을 매겨 차등을 두는 직무급제다.
시설관리직 중 가장 승급이 높은 3급의 경우 지난해 월 173만1147원, 올해는 지난해보다 8.9% 오른 월 188만4762원을 받았다.
지난해 기준 가장 하위직급인 청소직은 그해 최저임금과 동일한 월 157만원으로 받았고, 올해는 지난해보다 11.1%(17만원) 인상한 바 있지만 비정규직 당시 지급받은 임금보다 낮다.
노조는 임금 보전을 위해 그간 7차례에 걸쳐 사용자 측인 정부와 협상을 벌여왔으며, 이번주 중 8차 실무 대표자 간 교섭이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