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8 10:34 (금)
“가습기살균제 건강이상, 서울 2개 동네서만 626명”
상태바
“가습기살균제 건강이상, 서울 2개 동네서만 626명”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9.04.25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회적참사특조위, 피해 찾기 사업 결과 발표
▲ 가습기살균제 사용자 및 피해자 찾기 예비사업 결과보고 기자회견. <뉴시스>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25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자 및 피해자 찾기 예비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2018년 12월~2019년 3월 서울 마포구 성산동과 도봉구 방학동 주민 8109명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2646명이었다. 

이중 비염·기침·고열 등 증상 등 건강이상을 경험한 자들은 626명(23.7%)으로 나타났다. 

실제 병원치료를 받았다는 이들은 485명(18.3%)이었다. 

심층 설문에 응한 가습기살균제 노출자 303명 중 정부의 건강피해 판정을 받아 볼 필요가 있는 호흡기 관련 질환 또는 독성간염을 진단 받은 자들은 155명(51%, 복수응답 허용)이었다. 

이중 실제 정부에 건강피해 판정을 신청한 사람은 7명뿐이었다.

비염과 알레르기 등 아직 정부가 인정하지 않는 질환을 진단받은 이들도 37.6%(114명)을 차지했다.

이들은 피해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 ‘살균제 사용 증거가 없음’, ‘건강 피해 증명 방법을 모름’, ‘피해 인정질환에 해당하지 않음’ 등을 꼽았다고 특조위는 전했다.

특조위는 이번 조사가 정부가 파악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규모에 비해 실제 신고자수가 현저히 낮다는 점에서 시작됐다고 전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가습기살균제로 건강피해를 입은 이들은 56만여명으로 추산된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8년간 정부에 신고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6384명이다. 

4개월간 서울시 2개 동에서만 실시한 피해조사 결과 2000여명이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되고 이중 600여명이 건강이상을 호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에 피해를 신고한 자들의 규모가 터무니없이 작다는 것이 특조위 주장이다.

특조위는 이번 조사로 파악된 정부의 건강피해 판정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파악된 148명에 대해 피해 신고를 독려하는 한편, 두번째 시범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