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이타닉’, ‘아바타’ 등을 제작한 제임스 캐머런 감독은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바다 깊은 곳을 탐험했다. 영화로 돈을 벌어 호기심으로 발동한 궁금증을 해결한다는 것이다. 호기심을 통한 탐구과제를 직접 탐사하고 검증하는 방식을 택한다. 캐머런 감독은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바다인 필리핀 매리애나 해구 1만898m 속을 탐험했다.
에디슨은 알을 부화하기 위해 3일간 품고 있었다. 호기심을 검증하기 위해 한 행동으로 인해 부화기를 발명하게 되었다. 아인슈타인은 공상을 즐기며 상상 속에서 자신의 이론을 검증해 보는 습관을 들였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는 과정에서 많은 검증과정을 거쳤는데 이것은 호기심의 발로이다. 궁금한 내용이 생기면 반드시 검증해 보는 집착력이야 말로 천재를 탄생시키는 요소이다.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하고 싶은 일을 하는 능력이 천재를 만든다. 이것저것 가리고 신경 쓰다보면 정작 하고 싶은 일을 못한다. 물불가리기 않고 무조건 시행하는 시행착오와는 다른 개념이다. 호기심을 검증하고 해결하다 보면 점점 더 강한 쾌락을 느껴 관성의 법칙처럼 계속하게 된다. 집중하고 몰입하는 과정에 빠지게 된다. 누가 뭐래도 자신의 철학을 가지고 추진력을 발휘하게 된다.
공부를 하는 학생의 경우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공부를 할 수 있을까’ 궁금해 한다. 뇌를 계발해 준다는 전뇌계발훈련을 하면 과연 뇌가 계발되는지 의아해 한다. 그렇다면 검증하면 된다. 호기심이 있다면 해결해야 한다. 전뇌계발훈련을 받고 자신 스스로 더 큰 능력이 생기는지 판단해 보아야 한다. 전뇌계발훈련을 하고 초고속정독훈련 과정을 마친 후 평소에 읽던 책을 어느 정도까지 빨리 읽을 수 있는지 검증해 보면 된다.
검증은 수치로 기록하면서 확인하면 확실하다. 과학적이기 때문이다. 전뇌계발훈련을 마친 뒤 기억능력을 측정해서 전뇌계발 전과 후의 상태를 비교 분석하면 된다. 정신능력과 기억능력, 속독능력, 신체적 변화정도를 파악해 보아야 한다. 의심은 부정과 의혹을 낳지만 호기심은 결과와 확신을 낳는다. 어떤 원리로 전뇌학습법이 장영실 과학문화상을 받았는지 무슨 장점이 있어서 지속적으로 전뇌학습법이 발전을 하는지 직접 경험해 보면 된다.
어린아이가 무섭게 성장하며 발전하고 지적능력이 커지는 것은 호기심을 매일 충족하기 때문이다. 궁금한 점이 발생하고 호기심이 발동한다면 즉시 해결하기 위해 행동으로 옮기면 된다.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실천하면 된다. 어린아이처럼 나의 호기심을 검증하는 노력이 나를 발전시킨다. 호기심을 검증하자. 나를 놀랍게 발전시키며 천재적인 능력을 보유하게 만들 것이다.
교육심리학·세계전뇌학습아카데미 www.allbrain.co.kr 02-722-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