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정동기 등…혐의 부인 나설듯

오는 14일 검찰 출석을 앞두고 있는 이명박(77) 전 대통령이 ‘방패’로 세울 변호인단의 면면과 이들의 변호 전략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과거 청와대 참모로 활동한 측근들로 변호인단을 꾸렸고 추가 선임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정치적 이유와 금전적 문제 등으로 진척을 쉽게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 전 대통령은 검찰 수사에 대비해 강훈(64·사법연수원 14기), 정동기(65·8기) 두 변호사를 앞장세울 것으로 보인다.
강 변호사는 서울고법 판사 출신으로 MB정부 초기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맡은 바 있다.
지난 2007~2008년 도곡동 실소유주 의혹과 BBK특검 당시 이 전 대통령 처남인 고(故) 김재정씨의 변호를 맡기도 했다.
검사 출신인 정 변호사는 대구·인천지검장 및 대구고검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을 맡는 등 주요 요직에서 근무했다. 지난 2008~2009년에는 MB정부 민정수석을 맡았다.
법조계에서는 강 변호사 등이 현재 서울중앙지검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스(DAS) 실소유주 의혹 수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어, 그만큼 대응 논리를 구축하는 데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들 모두 청와대 재직 시절 이 전 대통령의 법률 보좌 역할을 맡은 바 있고, 현재도 참모진으로 분류되는 측근들이다. 이들은 이 전 대통령의 변호를 준비하기 위해 근무하던 법무법인을 퇴사하고 새로 법무법인을 차리기도 했다.
또 이 전 대통령이 검찰의 영포빌딩 압수수색 과정에서 발견된 청와대 문건을 대통령기록물관리관으로 이관하라며 제기한 소송에서 선임된 피영현(48·33기) 변호사도 변호인단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변호인단은 검찰이 이 전 대통령에게 적용한 혐의 모두를 부인하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전해진다. 법률적 문제 뿐 만 아니라 사실관계 자체도 전부 부인하겠다는 취지다.
변호인단은 다스 실소유주 논란에 대해서는 큰형인 이상은 다스 회장의 소유임을 분명히 하고, 삼성 소송비 대납 등 뇌물과 관련해서는 “알지 못한다”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이들만으로 검찰 수사에 맞서기는 부족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뇌물 액수가 100억원대 이르는 만큼 사안 자체가 중대하고, 혐의도 방대한 만큼 ‘거물’급 변호인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이 전 대통령 측에서도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추가 변호인 선임에 나서고 있지만, 주요 법무법인 측에서는 정치적 부담이 크고 국민 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이유로 손사래를 치고 있다.
더욱이 거액의 수임료를 건넬 수 없다는 점도 걸림돌이 된다. 이 전 대통령 측은 현재 변호인 수임료 등 가용할 자금이 부족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명재산을 부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뜻 거액의 변호인 선임료를 조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검찰 고위 간부 출신의 한 변호사는 “이 전 대통령 관련 수사 상황은 현재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진전됐다”라며 “초호화급 변호인단을 구성해 만반의 준비를 해도 향후 일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추이를 지켜봐야 될 것”이라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