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1 16:47 (월)
의료급여관리사 71명이 2년 동안 155억 원 절감
상태바
의료급여관리사 71명이 2년 동안 155억 원 절감
  • 양종식 기자
  • 승인 2015.04.15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의료급여관리사, 2013년 이후 2년 동안 급여일수 347,128일,총진료비 155억 원 절감
2012년부터 도입한 의료급여관리사 멘토링 제도 도움

사례
의정부시에 사는 김 모(59세, 여)씨는 중증 우울증과 고혈압,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의료급여수급권자다.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우울증으로 외출을 하지 않고 오로지 의료기관만 이용하며 과다의료이용을 하고 있었다. 의정부시의 의료급여관리사는 속마음을 터놓고 얘기할 사람이 없는 김 모 씨에게 지난 2년 간 방문, 전화상담 등을 통해 사례관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급여일수는 1,268일에서 493일로, 연간 3,985만원의 진료비는 2,425만원으로 연간 1,560만원을 절감하는 한편 김 씨의 우울감 해소 및 건강회복에도 도움을 주었다.

위 사례는 의료급여 재정안정과 의료급여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도입된 의료급여사례관리의 효과성을 보여준 단적인 예다.

15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31개 시군에 배치된 의료급여관리사는 모두 71명. 도는 이들이 지난 2년 동안 질병에 비해 의료기관을 너무 많이 이용하는 8,992여명의 고위험군에 대해 집중적인 사례관리를 실시한 결과 2013년 234,711일, 2014년에는 112,417일 등 총 347,128일의 급여일수를 감소시켰다.

급여일수가 줄면서 이들의 총 진료비 줄어 2013년 77억, 2014년 78억 원 등 총 155억 원의 재정절감효과를 거뒀다. 155억 원의 예산 절감은 1년 의료급여 수급권자 평균 진료비가 약 400만 원임을 감안할 때 3,800명 이상의 수급자에게 의료급여를 실시할 수 있는 금액이다.

도는 이 같은 의료급여관시사의 활약 뒤에는 의료급여관리사 멘토링 제도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멘토링 제도는 경기도가 지난 2012년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제도로 선배 의료급여관리사가 후배 의료급여관리사에게 사례관리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은 물론 낯선 행정기관에서의 적응을 돕는 인적 네트워크다. 도 소속 2명, 시·군 소속 5명의 의료급여관리사가 전화, SNS 등을 통해 신입 의료급여관리사를 돕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멘토링 제도로 업무상 어려움에 대한 상담과, 신속한 업무기술 전수, 정서적 공감 등을 통해 의료급여관리사들의 업무분위기가 개선되고 사례관리 실적이 향상됐다.”라며 “멘토링제를 기반으로 한 사례관리와 지원 강화로 수급자의 올바른 의료이용과 복지재정 누수방지를 위해 노력 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