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요청에 신규 단말 지원금 상향…여전히 선택약정 유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삼성전자 갤럭시 S24 시리즈 공시지원금을 각각 최대 48만9000원, 48만원, 50만원으로 올렸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일 이후 추가 인상이다. 이동통신3사가 출시한 지 얼마 안 된 신규 스마트폰 공시지원금을 올린 데에는 정부의 상향 조정 요구 때문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이통3사는 6일 갤럭시 S24 시리즈 지원금을 상향 조정했다. SK텔레콤 지원금 구간(성인 요금제 기준)은 25만~48만9000원, KT는 11만5000~48만원, LG유플러스는 23만4000~50만원이다.
지난달 26일 이통3사가 최대 지원금을 20만~24만원으로 설정한 것과 비교하면 약 2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3사 모두 공시지원금을 최고치로 받으려면 월 11만~13만원 수준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
최대 지원금이 가장 많은 LG유플러스의 경우 공시지원금에 추가 지원금(공시지원금의 최대 15%)까지 더하면 최대 57만5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이때 갤럭시 S24 울트라 512GB 모델(출고가 184만1400원) 실구매가는 126만6400원으로 떨어진다.
이로써 이통3사 갤럭시 S24 시리즈 공시지원금이 정식 출시 6일 만에 상향되는 이례적인 일이 나왔다. 갤럭시 S22, 갤럭시 S23 등 최근 사례를 보면 갤럭시 S 시리즈 공시지원금 인상은 정식 출시 후 1~2개월 후에 이뤄졌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지난 2일 갤럭시 S24 시리즈 지원금을 최대 45만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나 이날 최대 5만원 추가로 올렸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부 요청 때문으로 보인다. 정부는 최근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폐지에 앞서 이통3사에 갤럭시 S24 시리즈 지원금 상향을 요청한 바 있다.
단통법 폐지는 법안 개정 사항인 만큼 국회 논의를 거쳐야 한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단통법 폐지 이전이라도 마케팅 경쟁 활성화를 통해 단말기 가격이 실질적으로 인하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달 이통3사 임원을 만나 갤럭시 S24 시리즈 지원금 상향을 요청했다.
이통3사는 정부 요청에 수용한 듯 보인다.
하지만 이번 공시지원금 상향에 있어 이통사는 어떤 요금제를 선택하더라도 단말 할인보다 선택약정(월 요금 25% 할인)을 더 유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단말 할인이 적용되지 않은 사전예약자와의 역차별을 막기 위해서로 보인다.
예컨대 중고가 요금제인 SK텔레콤 5GX 프라임 요금제(월 8만9000원)의 경우 단말 할인 선택 시 총 42만55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선택약정(2년 약정) 선택 시 53만46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선택약정을 선택하는 게 10만9100원 더 저렴한 셈이다.
저가 요금제인 KT 5G 슬림 10GB(월 5만원)의 경우도 단말 할인 선택 시 최대 21만2750원을 할인받을 수 있지만 선택약정 선택 시 30만96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