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1 16:47 (월)
'이마트' 때문에 고민에 빠진 서울시…그 해법은 ?
상태바
'이마트' 때문에 고민에 빠진 서울시…그 해법은 ?
  • 김지훈 기자
  • 승인 2013.01.24 0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의 역점 복지사업 중 하나인 '희망온돌' 사업을 후원하는 신세계 이마트가 최근 직원사찰을 해왔다는 논란에 휩싸이면서 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더욱이 이마트가 작성한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 대응지침 문건의 내용이 공개되면서 상반되는 관계에 대한 시의 공식 입장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문건에는 '사업장 출입 강행 시 법적 조치 가능', '물리적 충돌 시 정보과 형사 연계 처리' 등의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시 관계자에 따르면 하루 전인 23일 '서울시와 이마트 40개 협력회사 손잡고 희망마차 이끈다'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낼지 여부를 놓고 내부적으로 의견이 갈렸다고 한다.

시 노동옴부즈만과 관계가 있는 '불법직원사찰' 논란이 불거지는 마당에 이마트를 홍보하는 내용이 포함된 자료를 내는 게 시기적으로 맞는가를 놓고 이견을 보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보도자료는 해당부서인 복지건강실의 요청에 따라 원래 예정대로 배포됐다. 하나의 시각만으로 이마트와의 관계를 정립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은 것으로 전해졌다.

시가 추진하는 복지사업의 주요 협력사라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당장 이마트의 후원이 중단될 경우 시는 또 다른 기업을 물색해야 한다. 기업의 사회적 기부 방식으로 진행돼 왔던 복지사업에 갑작스럽게 예산을 편성하기 힘들 뿐더러 재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마트의 입장에서 봤을 때 '윤리경영' 방침과 부합하는 복지사업 후원 활동을 쉽게 포기하기는 힘들 거라고 복수의 시 관계자들은 내다봤다.

이러한 상황을 인지한 서울시 한 고위관계자는 "이러한 모습이 모순되게 보일 수도 있겠지만 하나의 시각으로만 업무를 진행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잘못한 게 있다고 해서 다른 방식으로 하고 있는 사회공헌 활동까지 막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논란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서간 협의를 통해 전체적인 방향을 잡아나갈 필요는 있어 보인다"며 "외부적으로 보여지는 이마트의 장점이 내부적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잘 풀어나가 보겠다"고 덧붙였다.

희망온돌사업을 추진하는 복지건강실과 노동옴부즈만을 관리하는 경제진흥실, 그리고 관계부서들이 모여 상충되는 부분을 협의해 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마트가 내부적인 자성과 변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득해보겠다는 의미다.

가뜩이나 전임 시장 시절 쌓아놓은 부채 때문에 재정여력이 제한적인 시로서는 기업과 연계해 사업을 할 수밖에 없다. 특히 복지를 전면에 내세운 만큼 기업의 사회적 기부를 적극 유도해야 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하지만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노동복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는 시로서는 이마트가 직원사찰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적과의 동침'이라는 표현이 현 시점에서는 시와 이마트간 관계를 은유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문장인 셈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