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4 12:42 (금)
[10·26재보선]'유권자 등록제 DB' 도입해볼만…여론조사 신뢰도↑↑
상태바
[10·26재보선]'유권자 등록제 DB' 도입해볼만…여론조사 신뢰도↑↑
  • 신정원 기자
  • 승인 2011.10.28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론조사에서 마지막까지 오차 범위 내 접전을 벌였던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53.4%의 지지를 받은 범야권후보 박원순 당선인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47.21%)와는 7.19%p 차이였다.

막판까지 박빙이라는 여론조사 결과와 달리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7%대가 넘는 차이를 보였다. 이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도 여론조사에 대한 회의적인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다만 방송 3사와 YTN 출구조사 결과는 각각 '54.4% vs 45.2%'와 '51.9% vs 47.9%'로 비교적 실제 결과와 비슷하게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여론조사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선거일 일주일 전까지만 공표를 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또 샘플링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KT 등재·미등재 ▲전화면접 조사와 자동응답방식(ARS) ▲휴대전화번호 ▲'임의번호걸기'(RDD·랜덤 디지털 다이얼링) 등 방법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RDD 도입, 성과와 한계는…

그간 선거 여론조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됐던 KT 전화번호부 등재방식이 샘플링과 여론 왜곡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면서 RDD 방식이 지난해부터 점차 도입되고 있는 추세다.

이 방식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번호를 생성해 임의로 전화를 걸도록 하는 것으로, 이번 선거에서는 한길리서치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해 조사를 진행했다.

RDD 방식은 표본에 KT전화번호부 미등재 인원까지 포함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RDD 방식을 도입한 이후 야당 표가 예전만큼 감춰져 있지는 않다"며 "대상을 KT 등재번호와 휴대전화로 확대하면 실제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RDD 방식이 도입된 지 얼마되지 않은만큼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여전히 060과 070 등 인터넷전화 사용 가구가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도 개선돼야 한다.

또 현재 RDD 방식은 조사대상자의 거주지역과 성별, 나이 등까지 수집할 수 없도록 돼 있어 특정지역에 국한된 조사를 해야할 경우 전국단위로 임의 조사한 뒤 다시 유효 응답을 선별해야만 한다.

리서치뷰 안일원 대표는 "RDD 방식으로 전국단위 조사는 가능하지만 특정지역을 조사하려면 조사기간과 비용 등이 너무 많이 들게 된다"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커버리지 에러를 줄여야 한다"며 "휴대전화 명부 전체가 공개된 것도 아니어서 표본이 고르게 수집되지 않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보도-법·제도 개선노력도 필요

여론조사 결과를 전하는 언론사들의 보도행태도 신뢰성 제고에 영향을 미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다른 시기에 각기 다른 기관의 조사내용을 앞다퉈 보도하다보면 조사방법과 대상 등이 중구난방이기 때문에 여론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오차 내 범위에서 엎치락뒤치락 하는 조사결과에 대해서도 '오차 범위 내'를 제외한 채 '역전했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것 역시 정확한 해석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이 밖에 정확한 표본을 모으기 위한 방법과 '부재자 재통화 방식' 등 응답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 숨어있는 여론을 올바르게 분석해 내는 방법, 법·제도적 한계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안 대표는 "보도 또는 공표 목적의 조사는 추후 비교검증을 통해 신뢰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함량미달의 조사기관들은 자연도태 되도록 해야 한다"며 "무책임한 보도에 대해서도 제재를 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美, 유권자 등록제…상세정보 DB 구축

리서치뷰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유권자 등록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상시적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서베이 샘플링'(Survey Sampling)사와 같은 DB관리 기관들은 법적 테두리 안에서 조사기관이나 후보들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이 DB에는 전화번호와 투표기록 여부, 지지 정당 또는 당적 등 상세한 정보가 포함돼 있어 여론 추이를 분석하는 데에도 상당히 용이하다. 이 때문에 조사 대상 규모를 줄여도 정확한 조사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사를 거절한 유권자에 대해서는 재발신 등을 통해 미응답률을 줄여 나가고 있다.

안 대표는 "특정 기관이 유권자 DB를 만들어 꾸준히 업그레이드하면서 비교적 정확한 표본을 구축하고 있다"며 "적은 규모로 조사를 해도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이끌어 내기 쉽다"고 말했다.

◇정치조사協 구성…정통망법 개정 추진

한국 여론조사 기관들도 조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12개 조사기관으로 구성된 한국정치조사협회를 지난달 구성했다.

협회에서는 각각의 기관에서 개발해야 시스템을 공동으로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창립 후에는 다매체 조사를 시행하기도 했다.

케이엠조사연구소 김경식 대표는 "한 회사에서 여러가지 시스템을 한꺼번에 구축하기는 힘들다"며 "비용도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론조사는 공익성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회사마다 각기 다른 조사결과를 내버리면 여론조사 자체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며 "연합방식은 조사비용을 줄이고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휴대전화를 활용한 여론조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법안은 공익적 목적에 한해 전화번호와 거주지역을 공개토록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특정지역에 국한된 조사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 유출 등의 우려도 나왔지만 이는 조사과정에서 성별이나 연령대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 대표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이동통신사 가입자 정보 일부가 여론조사기관에 공개된다"며 "지역정보가 포함된 DB이기 때문에 샘플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