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경연대, 역학 조사 촉구

여성환경연대는 5일 식품의약안전처(식약처)가 생리대 유해물질 실험 대상을 86종으로 확대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 “휘발성 유기화합물 외에도 전 성분을 조사하고 역학 조사를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여성환경연대는 이날 오전 정부 서울청사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상 항목이 여전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국한됐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하고, 생리대 부작용을 밝히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해외보고서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뿐 아니라 다이옥신, 퓨란, 잔류 농약, 향류 등이 검출될 수 있다”며 “정부는 생리대 사태를 축소하지 말고 안전한 생리대와 전반적인 여성건강 대책을 마련하고, 근본적인 생활용품 전반에 대한 점검과 화학물질 관리 체계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여성환경연대 실험결과에 대한 식약처 입장을 반박했다.
앞서 식약처는 “여성환경연대가 식약처에 전달한 김만구 강원대 교수의 실험결과는 상세한 시험방법 및 내용이 없고, 연구자 간 상호객관적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아 과학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4년 동안 축적된 ISO(국제표준화기구) 공인방법으로 실험을 했다. 저 같은 분석과학자가 새로이 시도해서 만든 방법이 나중에 공인방법이 되는 것”이라며 “실험 데이터는 정부나 식약처에서 원하면 분석과학회와 같이 토론회를 갖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