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의 성공 열쇠는 선택과 집중이다.”
현재 경기도가 수립을 추진 중인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의 성공을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도는 27일 오후 2시 남양주 유기농테마파크에서 가평, 구리, 남양주, 의정부, 포천 등 동부권역 도민, 도의원, 시군 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 2차 권역별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 공청회는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의 수립에 앞서 도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날 참석자들은 총괄책임자인 경기연구원 북부연구센터 강식 박사로부터 산업·경제, 교통, 도시 및 지역개발, 문화·관광, 환경, 농업, 복지·교육, 법·제도, 남북관계 등 9개 부문에 걸쳐 마련된 전략에 대해 설명을 듣고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우선 북부발전 10개년 계획의 담긴 주요 전략들을 내실 있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장석환 대진대학교 교수는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면서, “총 64개의 사업 중 선택과 집중을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가장 우선돼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윤영창 도의원은 “도로 분야 재정에 있어서 60% 이상이 북부지역에 지원되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라면서, “북부지역 시군마다의 재정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시군별 차등적 분배와 우선투자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도 보통세 징수액 1% 이상을 안정적인 북부발전을 위해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경기북부 지역이 가지고 있는 관광·역사 자원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차 권역별 공청회에서는 ▲사업의 우선순위 선정, ▲ 농촌지역 6차 산업화, ▲ 글로벌 인재 육성 시스템 구축, ▲ 통일 이후 파급력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 ▲ 서울, 인천 등 인근 광역단체와의 협력, ▲ 중앙정부와의 연계 등 다양한 의견들이 오고갔었다.
한편,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은 민선 6기 남경필 지사의 주요공약으로서 낙후된 경기북부지역 발전의 중장기 비전을 설정하고 향후 10년간 경기북부 발전을 효율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마련하는 종합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