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마치고 귀국한 이재명 대통령이 본격적인 내각 인선 채비에 나설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는 “이재명 정부 인사 과정에서 참신한 인물이 잘 보이지 않고 대통령실의 여성 비율이 현저히 낮아 우려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19일 BBS 라디오 ‘금태섭의 아침저널’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권 대표는 “국민이 기대하고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북 확성기를 즉각적으로 중단했는데, 이런 점은 기대를 주고 있다”라며 “다만, 인사 과정에서 몇몇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권 대표는 “인사 검증 부분이나 아직 참신한 인물이 잘 보이지 않는 측면에서는 조금 우려가 있다”라며 “특히 대통령실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서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지 조금 우려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란 이후 여러 정책이 알 박기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게 잘 보이지 않아서 우려된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진행자가 “기회가 되면 좋은 인재를 추천할 생각도 있냐”라고 묻자, 권 대표는 “국민 주권 정부라는 이름 아래 국민추천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어떻게 운영할지 기대하고 바라보고 있다. 많은 분이 추천할 것”이라고 답했다.
권 대표는 12·3 불법 계엄 사건 수사를 맡은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를 언급하기도 했다.
진행자가 “앞서 조은석 내란 특검을 향해 ‘부적합한 인사니까 교체해 달라’라고 말했다. 이유가 뭔가?”라고 묻자, 권 대표는 “조 특검은 과거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에 대해 제대로 수사하지 않은 적이 있다”라고 답했다.
그는 “2009년 이른바 용산 참사 당시, 용산 상가 세입자에 대한 무리한 진압을 시도한 사람이 바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이다. 그때 경찰의 무리한 진압이 6명을 사망하게 만든 단초를 제공한 것이 명확하게 확인됐다”라며 “그런데 (조 특검이) 당시 김 청장을 무혐의로, 제대로 된 소환 조사 한번 없이 그냥 풀어주는 등 제대로 된 조사를 하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후 2심 형사 재판 과정에서 수사 기록 3000여 쪽을 법원이 제출하라고 명령했음에도, 끝끝내 2심에서 제출하지 않았다. 편파 수사로 확인된 것이 재판에서도 이어진 것”이라며 “정권의 입맛에 맞는 그런 수사를 진행한 검사로 생각해서, (특검이 됐을 때) 객관적이고 공정한 수사가 가능하겠냐는 입장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