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4 12:42 (금)
李 대통령, G7서 다자 정상외교 시동…국제 무대 데뷔 주목
상태바
李 대통령, G7서 다자 정상외교 시동…국제 무대 데뷔 주목
  • 이광수 기자
  • 승인 2025.06.08 16: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5일 개막하는 G7 정상회의 참석…정상외교 데뷔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뉴시스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2주 차인 이번 주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행보 구상과 새 정부 구성 작업으로 분주한 한 주를 보낼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연휴 마지막 날인 8일 별도의 공개 공식 일정 없이 G7 정상회의 관련 보고를 받으며  다자간 정상외교 무대 데뷔에 몰두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은 전날 이 대통령이 오는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아 참석한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실은 앞서 회의 의장국인 캐나다 측으로부터 초청을 받고 수락 여부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는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참가하는 다자간 정상외교 무대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G7은 미국, 캐나다, 독일, 영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등 7개국 정상들의 회의체지만, 매해 G7외 소수의 국가 정상을 초청하곤 한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회의에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국제사회에서의 외교적 입지를 넓히는 첫 행보로 주요국 정상들과의 만남을 통해 다양한 외교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 극복 과정에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빛의 혁명’으로 불리는 ‘K-민주주의’를 고리로 한국의 저력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전 세계가 ‘코리아 이즈 백’이라며 한국의 민주주의 회복을 상찬한다”며 “한국이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전 세계에 알릴 최고의 무대”라고 말했다.

이어 “비상계엄으로 국가 이미지에 큰 손상을 입었는데 친위 쿠데타를 국민의 저력으로 극복하고 다시 회복하고 있다는 것을 알릴 기회”라며 “G7에 참석해 K-민주주의 비전을 천명하는 것만으로도 큰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G7 의제에는 대북 공조와 중국 의존 탈피를 위한 글로벌 공급 등 복잡한 외교·안보 현안이 포함돼 있다. 이 대통령은 미·중 간 패권 경쟁 속에 우리 안보와 경제에 이익이 되는 분명한 입장을 국제 사회에 전달해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이 대통령이 표방한 ‘실용 외교’의 첫 시험대이기도 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