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 모래 레미콘'에 대해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는 경남 통영시가 바닷모래 사용 레미콘 업체들을 상대로 시정조치를 요구했다.
통영시는 해당 레미콘 업체들에게 바닷모래 사용을 자제하고, 고품질의 레미콘을 생산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공문은 지역 레미콘 업계에 바닷모래 사용에 따른 상황의 심각성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또 이번 사태를 계기로 레미콘 업체들의 골재 관리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레미콘 업체가 염분 함유량을 측정해 서류로 제출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현장 감독과 감리가 직접 측정하는 등 점검 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같이 강화된 점검 기준은 아파트, 고층건물 등 대규모 민간사업장에도 적용할 예정이라고 시는 전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공문 통보는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한 조치"라며 "앞으로 레미콘 품질을 철저히 점검하는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진상조사 중간점검 결과 바닷모래 사용 레미콘이 납품된 민간 아파트 공사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아파트 사업자들이 '강모래 레미콘' 보다 ㎥당 가격이 3~4만원 가량 싼 '바닷모래 레미콘'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모래에 염분이 들어가면 철근의 부식이 빨라지고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라며 "아파트 건설에 집중 사용될 경우 문제 발생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통영지역 레미콘 업계에 유통된 바닷모래는 욕지도 남방 50㎞ 배타적경제수역(EEZ)내 골재채취단지에서 채취됐다.
지난해까지 국책용으로만 사용되다 올해부터 민수용으로 풀려 남해안 일대 유통됐으나 염화물(염분)이 허용기준치 0.04% 보다 작게는 5배 많게는 9배까지 검출되면서 레미콘 원료로 부적합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