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8 16:16 (월)
농업보물 제1호, 아십니까?
상태바
농업보물 제1호, 아십니까?
  • 유상우 기자
  • 승인 2013.12.18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농업보물 1호 포천 운천 겨리쟁기

소 한 마리로 가는 쟁기를 ‘호리 쟁기’, 두 마리의 소에 메어 사용한 쟁기를 ‘겨리 쟁기’라 한다. 이 가운데 겨리쟁기는 북부 지방이나 강원도 산악 지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쟁기로 흔치 않다. 특히 100여년 된 겨리쟁기는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희귀하다.

서울 중구 충정로 농협중앙회 농업박물관이 100년 된 겨리쟁기를 확보했다. 경기 포천시 영북면 운천리에서 가져왔다. 성에 길이가 3m에 달하는 대형으로 보습과 볏, 쌍멍에, 탕개줄 등 부속 도구들이 잘 보존돼 있다. 이 쟁기는 민속학자인 김광언 인하대 명예교수를 통해 찾게 됐다.

김재균 농업박물관장에 따르면 이 쟁기를 기증받고자 2008년부터 5년을 공들였다. 기증자인 임모씨는 조부가 남긴 물건이라며 기증할 수 없다고 버텼다. 지난해 임씨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들을 다시 접촉했으나 역시 기증을 거부했다.

김 관장은 “임씨의 아들과 친분 있는 동네 농협 관계자 등 주위 사람들을 동원해 설득하는 등 공을 들여 지난달 기증을 받아냈다”고 밝혔다.

▲ 농업보물2호 평창 상월오개 인걸이
농업박물관은 소장유물 5000점 가운데 역사적·희소 가치가 뛰어난 10점을 ‘농업보물’로 지정했다. 이 가운데 농기구연구자와 농업민속 박물관 관계자 등 농업유물 전문가들의 고증을 거쳐 포천 겨리쟁기를 보물 1호로 선정했다.

축력을 이용하지 않고 사람이 직접 끈 강원 ‘평창 상월오개 인걸이’, 논바닥의 흙덩이를 고르게 부수는 도구로 폭이 230㎝나 되는 전남 ‘영광 하사 써레’가 보물 2, 3호다.

밭농사 지역인 제주에서 지역적 특성을 살려 만든 ‘서귀포 시흥 남태’, 발로 밟아 곡식을 찧거나 빻는 도구인 ‘신안 당두 외다리디딜방아’, 쟁기만을 운반할 목적으로 제작된 ‘쟁기운반 지게’, 벼만 40가마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초대형 야외 곳간인 ‘진주 대곡 나락뒤주’, 옹기가 들어갈 수 없는 두메산골에서 사용된 ‘삼척 판문 나무독’, 소나 말에게 먹이를 담아 주던 세 칸짜리 ‘세 칸 구유’, 닭을 기르는 우리 ‘신안 방월 어리’가 보물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 농업보물 7호 진주 대곡 나락뒤주
또 충남 ‘태안 근흥 말굽쇠따비’, 전남 ‘영광 안마도 코끼리 이빨따비’ 등 주요농업유물 40점을 선정했다. 농기구 대부분은 50년 이상 된 것들이다.

농업박물관은 농업문화재로 지정된 농업유물 중 16점을 19일부터 내년 3월30일까지 농업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한다.

김 관장은 “농업문화재 지정은 농업유물이 역사가 짧고 흔하다는 이유로 다른 유물들보다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저평가됐고 학계 등으로부터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는 자성에서 비롯됐다”면서 “이번 전시를 통해 농업유물에 새로운 생명과 가치를 부여해 농업유물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전화하고 농업인들에게는 자긍심을 고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