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8 16:16 (월)
서울관광재단 ‘서울 스마트관광 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진행
상태바
서울관광재단 ‘서울 스마트관광 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진행
  • 류효나 기자
  • 승인 2022.02.10 13: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 이후 ICT 기반 관광산업 ‘스마트화’ 확대 전망

서울관광재단은 기존에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던 ‘스마트관광 콘텐츠’를 정의하고 유형 분류 체계를 구성하였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비대면 산업 발전 및 ICT기술 등의 영향으로 스마트관광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관광산업의 열쇠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서울 스마트관광 활성화를 위해 ‘서울 스마트관광 콘텐츠 활용방안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산업계·관광학계·콘텐츠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여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스마트관광 콘텐츠는 ‘관광객의 경험증대와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도시 단위에서 디지털 기술과 융합되어 제공되며, 물리적 또는 가상적 환경에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콘텐츠’로 정의됐다.

연구진은 ‘스마트관광 콘텐츠’를 이루는 요소인 ‘스마트’, ‘관광’, ‘콘텐츠’를 규정하고 각 요소의 접점이 되는 ‘스마트 관광’, ‘관광 콘텐츠’, ‘스마트 콘텐츠’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개념화한 뒤 해당 요소들이 공통적으로 지닌 특성을 다시 합치는 방식으로 정의했다.

한편 스마트관광 콘텐츠 분류체계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관광 콘텐츠를 경험하는 공간 및 기술과의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정보제공형 ▲기능중심형 ▲경험확산형 ▲경험증대형 4가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관광재단 신동재 R&D팀장은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정의와 분류체계를 확립한 것은 학술적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스마트관광 콘텐츠의 유형화 및 특성화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시장성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업계가 발전 방향성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