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민과 함께 서울을 꽃과 나무로 채우는 대대적인 캠페인을 예고한 가운데 시민의 참여 여부가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시민의 참여를 담보할 만한 제도적 방안이 마련돼 있지 않아 예산 낭비성 전시행정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 섞인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서울그린트러스트 등 환경단체와 함께 355만 가구가 모두 참여해 봄 꽃 하나라도 심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 '서울, 꽃으로 피다'를 연중 전개한다고 26일 밝혔다.
매년 2100개의 지역 공동체가 참여해 환경 개선 운동 등을 펼치는 '꽃 속의 영국(Britain in Bloom)'과 뉴욕에서 진행되는 시민녹화운동 '부르클린 보타닉 가든(Greenest Block in Brooklyn Contest)'을 벤치마킹해 공공주도 녹화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시가 이번 캠페인을 위해 올 한해 마련한 예산은 총 131억원. 시는 골목길과 공터, 가로변 등 6개 생활권 중점구역에 심을 꽃과 나무 21만1000그루를 시민에게 나눠주고 시내 곳곳에 띠녹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자투리땅 등을 활용해 550여곳에 식재된 꽃과 나무는 시민이 자율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번 캠페인의 성패는 결국 시민의 참여 정도가 가를 전망이다. 지난해 시가 진행한 '2012 시민과 마을공동체가 함께하는 푸른서울가꾸기' 사업의 경우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아왔기 때문이다.
지난해 시가 25개 자치구를 통해 지원한 나무 25만1000그루의 활착률이 87.3%로 나타났으나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악구의 경우 지난해 심은 나무의 고사율이 36.1%에 달했다. 광진구와 영등포구도 각각 35.1%와 32.6%의 고사율을 보였다.
시 푸른도시국 한 관계자는 "많은 시민이 나무와 꽃을 심는 데는 열성적인 반면 관리하는 데는 소홀한 면이 있다"며 시민 참여를 이끌어 내기가 쉽지 않음을 토로했다.
시민의 참여를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해 시는 화훼 단체와 공공조경전문가 그룹 등의 도움을 받을 계획이다. 일반 시민이 관리하기 어려운 부분을 함께 관리하고 요청이 있을 경우 찾아가 교육을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후원기업이 나타나면 시민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시는 우선 참여 의사를 보인 시민을 대상으로 2시간 동안 나무 심는 요령 등을 알려주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구체적인 방안을 좀 더 마련해 가겠다는 계획이다.
문승국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자치구와 지역 주민이 함께 관리해 큰 무리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기업과 단체들의 참여도 적극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반기 중으로 평가를 거쳐 수요가 늘어날 경우 더 많이 지원할 것"이라며 "5년간의 계획을 세워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아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