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본회의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24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의 표결처리 강행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이번 회기 중 FTA 비준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 처리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강경파들은 본회의가 예정된 24일 표결처리를 강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당내 협상파들은 국민정서를 감안해 12월로 처리 시기를 늦추자는 입장이다.
한나라당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한미FTA 비준안 국회 처리와 관련, "당은 논개가 일본 적장을 껴안고 남강에 몸을 던지는 그 심정으로 몸을 던질 것"이라며 "논개가 열손가락 마디마기 가락지 끼우던 마음으로 한당은 각오를 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권 사무총장 역시 "다른 것은 몰라도 노무현 정부가 한미 FTA는 정말 잘했다"며 "FTA는 향후 50년간 한미 관계를 지탱해줄 기둥이라고 했던 사람들이 민주당 지도부에 있다"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황우여 원내대표와 남경필 외교통상통일위원장 등 당내 협상파들은 국민 여론과 민심 이반 가능성 등을 고려해 12월 중 비준안을 처리하자는 입장이다.
FTA 비준안 처리를 24일 강행처리할 경우 야권의 반발로 내년도 예산안 처리에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도 원내지도부의 현실적 고민이다. 예산안 법정처리 시한은 다음달 2일이다.
이 때문에 협상파에서는 예산안 처리 시한인 다음달 2일 또는 정기국회 마지막 날인 9일 예산안과 비준안을 동시 처리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당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한나라당은 22일 오전 현재까지 박 의장에게 직권상정을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오전 방송된 교섭단체 대표 라디오 연설에서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 재협상에 대한 한미 서면 확인을 재차 요구했다.
손 대표는 "시간을 갖고 논의에 논의를 거듭해서 여야 합의로 결론을 내자"며 "19대 국회에서 처리해도 늦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내년도 예산안을 먼저 저리한 뒤 FTA를 재논의해야 한다"며 12월 협상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