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국회 본회의 개회(24일)를 사흘 앞둔 21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에 대한 입장 정리 수순에 들어간다.
현재 한나라당은 한·미 FTA 비준안을 국회법에 따라 조속히 표결 처리 한다는 방침인 반면, 야권은 한나라당의 강행 처리를 결사 저지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 김정권 사무총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민주당은 야권 공조와 통합신당의 매개체로 (한·미 FTA 카드를) 활용할 것이 뻔하다"며 "민주당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으니 더 이상 할 것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언제까지 기다릴 것인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길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강행처리 시점이 다가왔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박희태 국회의장은 지난 18일 한·미 FTA 국회 비준안 처리와 관련, "많은 국민들이 (직권상정을) 이해해 줄 것으로 믿는다"며 직권 상정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예산안과 민생법안을 먼저 처리한 뒤 한·미 FTA 비준안을 나중에 처리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한나라당은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민주당과의 협의에 진전이 없을 경우 24일 본회의에서 비준안을 단독 처리하거나 내달 2일이나 9일 예산안과 함께 묶어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여야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은 21일 국회에서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최종 입장을 점검할 계획이다.
민주당 역시 이날 오전 열리는 최고위원·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한나라당의 강행 처리에 대한 대응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지난 16일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와 17일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 이후 협상파의 입지는 좀아진 반면 강경파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어 한미 FTA의 국회 비준을 놓고 여야 간 긴장국면이 또다시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