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있는 시·군에 대한 종합감사를 벌이면서 사장 측근들의 업무추진비 집행 내역과 채용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파헤쳐 표적감사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반면 도 산하 공공기관 고위 간부의 경력 부풀리기 의혹에 대해서는 5개월 넘도록 별다른 조치를 내리지 않아 대조된다.
10일 도와 시·군 등에 따르면 도 감사담당관실은 지난달 A시에 대한 감사에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의 측근인 B씨의 업무추진비 집행 실태를 집중 조사했다.
특히 업무추진비 집행 자료를 근거로 간담회 참석자들에게까지 전화해 참석여부를 일일이 확인했다.
B씨는 "행정안전부에 질의를 해 보니 시·군 업무추진비는 자치사무로 도에 자료를 제출할 의무가 없다고 했지만 감사에 최선을 다해 응했다"면서 "특정인의 업무추진비만 물고 늘어지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했다.
"확인 전화를 받았다"는 C씨는 "갑자기 민간인에게 전화해 공무원의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을 물어보는 것은 공직사회 스스로 망신을 주겠다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앞서 도는 지난 9월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있는 D시에 대한 감사에서는 시장 캠프 출신인 E씨의 채용과정을 집중 조사했다.
감사반은 E씨의 교수 경력을 강의 일수와 횟수 등으로 산정, 채용기준에 부적합하다고 압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E씨는 "학기 시작 또는 임용 시점부터 경력을 적용하는 것이 상식아니냐"며 황당해 했다.
이처럼 민주당 소속 단체장 측근들에 대한 칼날을 빼드는 것과는 달리, 도는 일부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감사관실은 지난 6월 F기관에 대한 감사를 벌이는 과정에서 2급 간부 G씨가 경력을 속여 입사한 정황을 잡았다.
G씨가 지난해 1월 채용될 당시 2~3곳의 근무경력을 부풀리거나 허위로 냈다는 의혹이다.
그는 타 직종의 회사를 다니며 급여를 수령해 놓고도 이를 경력에 산정하는 등 내부 규정이 정한 기준에 18개월가량 부족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도 감사관실은 이후 5개월이 넘은 현재까지 조치를 내리지 않고 있다. G씨에 대해서는 수차례 소명만 받아 물타기 의혹마저 일고 있다.
이와 관련, 도 감사관실 관계자는 "관련 산업 자체의 특수성을 감안해 판단하려다 보니 쟁점이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또 "단체장 측근들을 특정해 조사하는 것은 아니며 타 기관의 업무추진비 감사 때도 참석자들에게 정중히 전화를 걸어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지도·감독 차원일 뿐"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