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코리아 그랑프리 조직위원회가 F1운영사인 포뮬러원매니지먼트(FOM)와의 재협상과 국비 확보 등을 이유로 수차례 미뤄왔던 2012년 대회 개최권료 신용장(LC) 개설 시한을 내년 2월로 사실상 못박았다.
주동식 F1조직위원회 기획본부장은 13일 전남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개최권료 지급계획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FOM과 F1 개최비용 등에 대한 재협상이 진행중이며 늦어도 내년 2월 중 의회승인을 거쳐 신용장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 본부장은 앞서 예결위 첫날인 12일에도 "현재로선 국비확보가 변수지만 개최권료 신용장 개설은 2월중 이뤄져야 하고, 도의회 승인 때까지는 손놓고 있을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F1조직위는 신용장 개설 대신 현금지급 방안 등을 대안으로 모색했으나, FOM의 버니 에클레스턴 회장이 신용장 개설을 중시하는데다 FOM 역시 금융기관을 통해 지급 보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용장 개설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F1 코리아 그랑프리 미지급 개최권료는 납부기한이 6개월 연장되면서 11월25일로 늦춰졌으나, 이후 재협상 등을 이유로 한 두 차례 더 연기된 상태다.
조직위는 FOM과의 국제협약에 따라 내년 대회를 위해 할증료 10%를 포함, 개최권료 505억원(미화 4370만 달러)과 TV중계권료 160억원(1390만 달러) 등 총 665억원을 지급토록 돼 있다.
여기에 F1 코리아 그랑프리 프로모터인 카보(KAVO)가 국가에 내는 하는 부가세(원천세) 61억원(개최권료 47억원, TV중계권료 14억원)까지 포함하면 내년 대회 기본비용은 700억 원을 훌쩍 넘어서게 된다.
이 중 다행히 TV중계권료는 전액 면제키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개최권료와 원천세, 국·도비 지원금 등은 여전히 미확정 상태다.
조직위 관계자는 "대회준비 등을 위해 내년 2월까지는 LC개설이 불가피하고 5월 1차 추경 때까지는 도 자체 예산과 이월금을 합쳐 105억원의 최소 비용이 필요하다"며 "국.도비와 개최권료 LC가 무산될 경우 대회 개최는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협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적자구조를 벗어나지 못한데 대한 의회 내부의 반대론이 여전한 데다 국비 확보와 FOM과의 추가협상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어서 개최권료 개설이 순조롭게 이뤄질 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