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생명 무시한 무능 행정, 즉각 안전책 추진해야"

광주 하남산업단지 일대 지하수에서 1군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 검출된 것에 대해 지역 주민들과 시민·환경단체가 즉각적인 안전 대책을 촉구했다.
하남산단·수완지구 지하수 오염 시민대책위원회는 16일 오후 광주 광산구청 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시와 광산구의 지하수 발암물질 오염 방치는 직무유기다. 시민의 생명을 방치한 책임을 함께 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광주시는 광산구의 오염수 정화 예산 편성 협조 요청에도 아무런 행정·재정적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시민 안전과 생명이 달린 사안임에도 광주시는 자치구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책임 회피이자 무능한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또 "광산구는 생활용수 관정에서도 발암물질이 검출됐지만 2년 넘도록 어떠한 행정 명령도 내리지 않았다. 정화 계획 수립조차 하지 않은 채 예산 부족을 이유로 손을 놓고 있었다"며 "주민들의 생명권을 외면한 무기력한 자치행정의 실태"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광산구는 당장 산단과 인접한 수완지구 생활용 관정에 대한 사용중지와 폐공 명령을 내려야 한다"며 "광주시도 150억원의 정화 예산을 긴급히 편성해 구와 함께 정화 작업에 착수하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지하수법에 따라 오염정화 행정 명령·계획을 공식 수립하고 조사 결과와 행정 대응 경과도 투명히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광산구가 광주시로부터 10억원의 예산을 지원 받아 '하남산단 지하수·토양오염조사 용역'을 추진한 결과 산단 일대 지하수에서 1군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수백 배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와 광산구는 2023년 6월 해당 용역 결과가 나온 뒤에도 행정 명령 등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결과 보고서도 공개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