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6 16:39 (수)
“코로나19 인명피해 최소화 대책, 만시지탄”
상태바
“코로나19 인명피해 최소화 대책, 만시지탄”
  • 박경순 기자
  • 승인 2020.03.02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들 “이미 지난 2월 22일부터 제안했었다”
▲ 권고안 관련 발언하는 백경란(오른쪽 두 번째)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 권고안 관련 발언하는 백경란(오른쪽 두 번째)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보다는 사망자 등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응전략을 전면 수정했지만 ‘만시지탄’(晩時之歎)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일 중증환자를 빠르게 분류해 입원치료에 집중하고 경증환자는 시설격리를 통해 관찰·치료한다는 골자의 ‘코로나19 대응지침(7판) 개정’과 ‘코로나19 지역 확산 대응 치료체계 재구축 방안’을 즉시 적용한다.

지금까지는 증상의 경중과 관계 없이 입원치료에 집중했지만 2일부터는 ‘환자 중증도 분류 및 병상 배정 지침’에 따라 확진자를 ▲경증 ▲중등도 ▲중증 ▲최중증 등 4단계로 분류한다. 

경증환자는 관리가 가능한 시설에 격리해 관리하다가 증세가 악화되면 병원으로 옮기고, 중증환자는 처음부터 전담병원에 입원시켜 치료한다.

대구에서는 병상 부족으로 확진 환자 1600여명이 대기하며 자가 격리하고 있다. 병상을 제때 배정받지 못해 집에 머물다 사망한 환자는 모두 3명이다. 모두 고령자에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들이다.

확진자 발견과 접촉자 격리 등 차단 중심의 봉쇄전략(1차 예방) 대신 지역사회 확산을 지연시키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전략(2차 예방)의 방향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시기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은 지난달 22일부터 제기됐다. 

지난달 18일 31번째 환자 확진 이후 신천지 대구교회 등 슈퍼전파로 확진자가 급증한 상황인 만큼 중증환자 치료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된 지난달 22일 대한감염학회·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대한소아감염학회·대한예방의학회·대한응급의학회·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대한중환자의학회·대한항균요법학회·대한임상미생물학회·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한국역학회 등으로 구성된 ‘범학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위원회’(범대위)는 대정부·대국민 권고안을 내놨다.

범대위의 대정부·대국민 권고안에는 지역사회 감염 확산이라는 변화된 상황에 맞게 방역 목표와 전략을 선제적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확진자 발견 및 접촉자 격리 등 차단 중심의 ‘봉쇄 전략’보다 지역사회 확산 지연 및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한병원협회와 대한의사협회도 피해 최소화 방안을 시행할 것을 주장했으며 지난달 28일 경증 환자를 시설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공식 제안했다.

하지만 방역당국과 가장 밀접한 중앙임상위원회는 지난 1일에야 “일반적 코로나19 의심 유증상자는 경증환자가 80% 내외로 추정된다”며 “이들을 위한 시설 격리나 경증환자 전용 격리병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만약 방역당국이 지난달 22일 범대위의 지적을 적극 수용해 전략을 수정해 경증환자 전용 시설을 마련했다면 최근 나흘간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현재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시기를 당겼다”는 답변만 내놓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